한국기자협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PD연합회 등 언론 현업 3단체는 오는 4.15총선과 관련 공정보도 및 공동감시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이상기 한국기자협회장, 신학림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이강택 한국PD연합회장은 지난 7일 기자협회 사무실에서 열린 본보 신년좌담회에서 이같이 합의했다. <관련기사 3면>
이들 3단체장들은 이번 총선이 정치개혁과 언론개혁의 성패를 가늠할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양 개혁을 지지하는 후보를 당선시키기로 하는 등 총선투쟁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 앞으로 2~3개월마다 정례모임을 갖기로 하는 등 다른 현안에 대해서도 실질적인 공동연대에 나서기로 했다.
언론 현업 3단체장들은 특히 총선 보도 감시를 위한 공동감시시스템이 구축되면 여기에 일반 시민단체, 학자 등을 포함시켜 이번 총선이 정치개혁과 언론개혁을 바라는 대다수 국민들의 여망을 제대로 담아낼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그동안 이들 현업 단체는 굵직한 사회이슈나 언론현안에 대해 연대보다는 개별적으로 대처해 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상기 회장은 이날 “이번 총선에서 3단체가 공동보조를 맞추면 폭발력을 지닐 것”이라며 “기협이 언론노조의 부문단위로 참여하거나 함께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또 “기협 독자적으로 보도감시를 철저히 하고 전국단위 조직에서 후보들의 과거 및 정책을 철저히 검증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학림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도 “이제 기자협회는 기자, PD연합회는 PD하는 식의 직종차이의 매몰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라며 “총선을 앞두고 큰 현안들이 산적한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신위원장은 또 “언론노조는 지역순회 토론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하면서 공동감시지침과 공동보도지침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 시민단체와도 협력해 다각도의 총선투쟁을 벌일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강택 한국PD연합회 회장도 “이번 총선은 한국사회의 향후를 가늠 할 분수령이 되는 만큼 두 단체와 공동보조를 취할 것”이라며 “연합회 차원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선거방송심의 규정 20조(후보자 출연방송제한)와 13조(균등한 기회부여)에 대해 이의신청과 함께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소송을 낼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들 단체장들은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DTV전송방식문제와 지방언론육성법, 일부신문과 방송의 갈등 문제 등에 대해서도 폭넓은 의견을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