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DTV 갈등 재점화

조규장 기자  2004.02.26 03:00:03

기사프린트

진대제 장관"미국식으로 확정 짓겠다"

방송사노조 파업 찬반투표 움직임









광역시 DTV 전환일정이 연기되면서 가라앉았던 방송사노조와 정보통신부의 대치국면이 진대제 정통부 장관의 ‘미국식 고수’ 발언으로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진 장관은 10일 “이달 중 DTV 전송방식을 미국식으로 확정, 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며 “미국식의 약점인 이동 수신의 경우에는 유럽식 DMB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진 장관은 또 “안방에서 TV를 보는 시청자는 4천5백만명이고, 차를 타고 가면서 또는 휴대전화로 TV를 보는 사람은 1백50만명이다. 과연 어느 시청자층을 향한 정책이 돼야 하겠느냐”며 “전송방식을 유럽식으로 바꿀 경우 입게 될 손실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상파 디지털방송 전송방식 변경을 위한 전국방송인 비상대책위원회’는 12일 성명을 내고 “진대제 장관은 사실상 대화를 통한 전송방식 문제 해결을 저버리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정통부는 문제해결 주체로서의 자격과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으며 이 문제가 합리적으로 해결되기를 바란다면 청와대가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승호 MBC 노조위원장도 “진 장관의 발언은 정통부가 더 이상 대화상대가 될 수 없음을 재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됐다”며 “방식변경 가능성을 전제하지 않는 한 방송위와 정통부가 합의한 MBC 비교시험 검증과 KBS 비교시험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DTV 전송방식을 둘러싼 양측의 갈등이 다시 부각됨에 따라 오는 26일로 예정된 KBS MBC EBS 민영방송 등 방송사노조 총파업 찬반투표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사노조는 DTV 전송방식 논란이 종식될 때까지 광역시 전환일정이 연기되지 않는 한 총파업 찬반투표에 들어간다는 입장이다.

이에 앞서 노성대 방송위원장과 진대제 정통부 장관은 지난 5일 정책협의를 갖고 △디지털 전송방식은 정통부가 주관부처이며 디지털 전환일정은 방송위가 주관기관임을 재확인하고 △KBS와 MBC가 신청한 광역시 DTV 방송국 준공검사 연기문제는 정통부가 유관부처와 협의해서 결정한다는 등의 합의를 이끌어 낸 바 있다.

조규장 기자 natash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