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건설은 지난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의 선거공약에서 비롯된 것으로 충청인 스스로 행정수도를 건설해 달라고 부탁한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당시 노 후보의 공약은 '충청도 무대접'에 시달려온 충청인들에게 너무 쉽게 파고들었다. 지역이 낙후돼 있고 수도권으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워낙 심각해 공감되는 부분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찌됐건 참여정부 출범이후 행정수도 건설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 추진된 경과를 간략히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2003년 3월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기획단 발족 △7월 국정과제회의 행정수도 건설 재천명
△10월 국민여론 수렴 전국공청회 시작(서울 부산 대구 광주 전주 춘천 대전) △11월 18일 서울 여의도에서 행정수도 건설, 지방분권,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정 촉구 집회 △11월 21일 국회 행정수도 특위안 부결 △11월 28일 이명박 서울시장 행정수도 반대 밝힘 △12월 5일 대통령,행정수도 건설 거듭 약속 △12월 8일 행정수도 특별법 국회 건교위 극적 통과 △12월 29일 행정수도 특별법 국회통과.
하지만 아쉽게도 위에 적시한 내용 가운데 서울 소재 이른바 중앙 신문, 방송사들이 보도한 사안은 11월 21일 '행정수도 특위안 부결' 사실과 11월 28일 '이명박 서울시장 반대 표명', 12월 29일 '특별법 국회통과'와 관련된 내용뿐이었다. 그 마나 내용도 대부분 행정수도 건설에 대해 부정적인 것들이었다.
안타까운 것은 행정수도 건설을 설명하고 국민여론을 수렴하는 공청회가 전국 7개 도시에서
있었지만 중앙 언론사에서는 단 한 줄도 기사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글을 읽는 상당수의 기자들도 그런 일이 있었나 할 것이다.)
특히 11월 18일에는 지방민 1만여명이 서울 여의도에 모여 3대 개혁입법으로 불리는 행정수도특별법과 지방분권특별법,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조속한 법 제정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지만 중앙언론사에서는 철저히 "못 본 채 하기"식으로 일관했다. 오죽했으면 지방분권국민운동본부에서 중앙 신문, 방송사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성명서까지 발표했을까? 민언련도 같은 내용으로 세미나까지 개최한 바 있다.
행정수도 건설은 여전히 논란이 많으며 참여정부 내내 시비거리의하나가 될 것이다. 하지만 정말 걱정되는 것은 왜 행정수도를 건설해야 하는가에 대한 여론형성이 지방에서만, 그것도 충청도를 중심으로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우여곡절 끝에 행정수도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중앙 신문, 방송사에서 행정수도에 대한 찬반토론이나 집중취재 같은 것이 과연 얼마나 있었는지를 묻고 싶다. 국가의 수도기능이 오는 2012년부터 충청도로 옮겨간다는데 이처럼 무관심한 언론 행태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지난해 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올 상반기에는 입지후보지 선정작업에 들어가 하반기에는 최종 입지가 선정돼 발표될 예정이다. 행정수도 건설에 대한 언론사와 언론인들의 관심이 다시 한번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