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대언론관계가 획기적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정순균 국정홍보처장은 13일 ‘기자협회보’와의 인터뷰에서 주요 이슈가 발생할 경우 각 부처 정책실무자를 언론사에 보내는 일명 ‘순방홍보’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정 처장의 발언은 노무현 정부 출범이후 추진돼 온 언론정책의 방향이 크게 달라질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3·5면
국정홍보처는 또 중앙지에 편중된 정부광고를 지방지에 분배하는 등 지방언론발전을 위해서도 노력키로 했다. 영자지를 통한 해외홍보와 국내에 상주하는 외신기자들의 여론수렴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날 정순균 국정홍보처장은 정부 홍보의 역동적인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정부홍보는 사후약방문식 아니면 소극적 홍보였다”며 “앞으로는 조류독감, 이라크 파병 문제 등과 같은 굵직한 사회이슈나 정부정책에 대해서는 해당 정책실무자를 언론사에 보내는 등 순방홍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 처장은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언론의 역할도 큰 만큼 국회에 계류 중인 지방언론발전법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며 “중앙지에 편중된 정부광고를 지방지에 일정부분 할애하고, 지방신문의 1단기사라도 체크해 국민여론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등한시된 것처럼 비춰졌던 영자지의 활용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라며 “민족사 문제나 참여정부의 정책을 이들 신문에 기고하거나 연재를 한다면 해외에 쉽게 알릴 수 있는 홍보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외신기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자실 출입을 개방한 만큼, 이들과 정례적인 만남의 장을 갖고 당장 실천할 수 있는 것은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무료지 홍보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진행 중인 캠페인성 광고를 지속 하거나 정부정책을 고정적으로 게재하는 등 가능한 모든 매체를 활용해 국정홍보에 나설 것임을 강조했다.
정 처장은 “정부가 하는 일이 언론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때가 국정홍보를 하면서 가장 힘든 때”라며 “언론이 자기 독자들에게 보다 정직하고, 정부에 대해서는 정확한 보도와 합리적 비판을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