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올해는 언론협조·이해 구하는 해"

[인터뷰] 정순균 국정홍보처장

김신용 기자  2004.02.18 16:54:44

기사프린트

‘브리핑 참여’ 기관장 홍보역량 평가 반영할 터

취재 불편 최소화…악의적 오보엔 ‘적극 대응’







11일 정부 홍보의 최고사령탑을 맡은 정순균 국정홍보처장. 취임 이틀 뒤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에서 그를 만났다. 내부 승진한 정 처장은 국정홍보 정책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오랫동안 준비한 듯 공세적인 질문에도 차분하고 자신감 있게 소신을 밝혔다.

그는 대언론 관계 변화를 강조했다. 국정홍보를 위해 직접 언론사를 순방하거나 정책실무자들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분권화 시대에 맞게 지방언론 활용도를 높이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정부와 언론간의 건전한 긴장관계는 정부뿐만 아니라 언론 스스로도 노력해야 된다”고 주문했다. 또한 언론관계를 순기능적으로 변화시켜 나갈 것임을 인터뷰 중간에 여러 차례 밝혔다. 물론 악의적이고 잘못된 오보에 대해서는 변함없이 적극 대응 할 것이라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취임 소감은.

지난해가 대언론관계에 있어 새로운 틀을 가꾸는 한 해였다면 올해는 그 틀을 바탕으로 언론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해가 될 것이다. 앞으로 새로운 언론관계를 정착시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이다.



-기자들은 한 줄의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많은 정열을 쏟는다. 처장도 언론인 출신이기 때문에 잘 알 것이다. 하지만 브리핑룸 제도로 인해 취재환경이 위축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은데 어떻게 생각하는가.

오보나 왜곡보도는 기자들이 취재를 정확하게 작성하지 않는데서 비롯된다. 물론 브리핑제도 실시기간이 짧아 정보공개가 미흡하고 출입제한 등으로 인해 오보원인이 된 것이 있다. 또한 공직자들이 적극적으로 취재요구에 응하지 않은 것도 원인이다. 앞으로 공직자들에게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 취재에 응하게 할 방침이다.



-참여정부 초기에도 그런 원칙적인 말은 있었지만 공염불이 되지 않았는가.

사실 브리핑룸 제도가 시행되면서 처음에 장·차관 주재의 주 1회 브리핑의무화를 시행하고 실·국장들도 수시로 필요할 경우 브리핑을 하도록 했다. 그러나 당초 기대보다 훨씬 못 미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국무회의나 홍보정책조정협의회를 통해 각 부처담당자들에게 취지를 다시 강조하고 동참을 요구할 계획이다. 또한 각 부처의 브리핑 참여도를 기관장의 홍보역량평가에 반영시켜 나갈 것이다.

-정부와 언론과의 갈등이 역대 어느정권보다 심화되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참여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노무현 대통령이 언론과 싸움하는 모습으로 비춰지고 있다. 아시다시피 정부가 당초 언론과 대립하고 갈등하자는 것이 아니었다. 건전한 긴장관계를 형성하자는 것이었다. 즉 정부는 정도를 가면서 언론과 당당한 관계를 형성하자는 취지였다. 과거에는 권언유착이 있지 않았는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화풀이식 보도’도 있었다. 여러 가지 부당하게 간섭한 사례도 있었다. 때문에 권력과 언론간 ‘주고 받기식’의 불편부당한 관계를 해소하고 정도를 가자는 것이었다. 참여정부가 국정을 원만히 운영키 위해서는 언론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과거처럼 유착하자는 것이 아니다. 지금 바라는 것은 단 한가지이다. 정확한 보도를 해달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건전한 비판과 대안이 있는 비판을 해달라는 것이다. 언론의 지적에 충실히 귀를 기울이겠다. 언론의 쓴소리를 귀담아 듣겠다.



-지난해 8월 18일자 ‘기자단에게 정부부처가 정기적으로 돈 봉투를 건넸다’는 취지로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에 기고해 파문이 돼 기자협회에서도 성명을 냈다. 물론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밝혔지만 경위에 어찌됐던 기자사회 전체가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비춰졌는데 사과할 용의는 없는가.

약간의 오해가 있었다. 진위가 잘못 전달됐다. 당시 기고를 한 것은 과거 언론과 정부간의 잘못된 관계를 바로 잡자는 것이었다. 촌지 등을 밝히자는 것이 아니었다. 이 일로 마음이 상했던 기자들께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취임사에서 “아직도 오보와 왜곡 보도가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응 하겠다”고 말했는데 특정신문을 지칭한 것인가.

아니다. 오보와 왜곡보도 타파는 전체언론의 숙명이다. 반드시 없어져야 된다. 기사는 주체가 사람이기 때문에 고의든 아니든 있게 마련이다. 얼마나 최소화시키는가가 중요하다. 참여정부가 지난해 출범한 이후 오보와 왜곡보도에 대해 적극대응하면서 잘못된 보도가 많이 줄었다. 추세를 보면 지난해 상반기에 월평균 해명자료와 반론보도가 55건이었던 반면 10월 이후에는 30건으로 줄었다. 기자들 스스로도 오보와 왜곡보도를 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인터넷과 방송의 잘못된 보도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오보와 왜곡보도는 예외가 없다. 방송은 신문과 마찬가지로 잘못된 보도에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인터넷 매체는 언론중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사안이 발생되면 해당 회사에 해명자료를 보내고 있다. 오마이뉴스의 국정원 직원 사진게재 사건이 좋은 사례이다.



-최근 중앙일보의 의제 등 일련의 변화가 주목받고 있다. 중앙 출신이기도 한데 이 문제를 어떻게 보고 있나.

신문의 의제설정은 신문사의 몫이다. 이제는 특정신문이 일부러 참여정부를 위해 의제를 설정하거나 기사를 쓰지 않는다고 본다. 독자들이 바라는 방향에 따른 것이라 본다. 중앙일보의 최근 눈에 띄는 변화와 조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뿐이다.



-국내에 상주하는 외국 언론에 대한 홍보방안은 무엇인가.

지난해 장관들의 정책브리핑과 외신기자 간담회가 몇 차례 있었다. 올해에는 보다 활성화 시키겠다. 대통령께서 후보시절 외신기자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겠다는 취지로 이들에게 기자실을 개방했다. 하지만 아직도 미흡하다. 앞으로 외신기자들을 대륙권역별로 만나서 의견수렴을 하겠다. 또한 참여정부의 참 뜻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



대담·정리=김신용 기자 trustkim@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