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가 한국언론재단을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정순균 처장의 발언과 관련, 언론단체들이 “언론통제의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정 처장은 지난 11일 취임식에서 “한국언론재단과 아리랑TV 등은 옛 공보처가 관할했다”며 “국정홍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을 되찾아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언론재단은 17일 ‘한국언론재단 관리의 국정홍보처 이관에 대한 의견’이라는 자료를 통해 “재단의 목적은 언론문화발전과 언론인 복지증대”라며 “만약 국정홍보처의 관리를 받게되면 언론인 관련사업들을 하지 못하거나 실시하더라도 그 효과가 극소화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단은 또 “현실적으로도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장 등 4명이 당연직 이사로 있는데다 방송위원회 위원장,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 등 언론단체장들이 추천하는 추천이사가 각각 1명 씩 모두 6명으로 돼 있어, 이들이 정관개정에 동의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밝혔다.
언론재단 관계자는 “국정홍보처가 재단의 관리를 맡게 되면 언론인을 위한 사업을 정부정책 홍보에 유리한 방향으로 몰고 간다는 오해를 받게 될 것”이라며 “명분없는 재단관리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국정홍보처는 국민여론 수렴을 통해 국가정책에 반영하고 국정홍보를 하는 곳”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문화발전과 언론 관련 조사연구사업을 주로 하는 언론재단을 관리하겠다고 한 것은 재단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순균 국정홍보처장은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공보처 회귀, 언론통제 장악기도 등으로 침소봉대하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참여정부 아래서 그와 같은 일을 한다면 언론이 가만히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정 처장은 “다만 언론재단이 하고 있는 국제교류증진, 언론인 연수, 정부광고대행 등은 국정홍보처와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홍보행정 연계차원서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한국언론재단은 1999년 1월13일 한국언론회관,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언론인금고 등 언론3단체가 통합돼 창립됐으며 현재박기정 이사장이 제3대 이사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