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유권자 참여 유도…지역신문 한계 보완해야"

총선보도 전국 순회토론회

박주선 홍석재 기자  2004.02.18 00:00:00

기사프린트

시민단체-지역언론 ‘원칙론’ ‘현실론’ 시각차 보이기도







기자협회, 언론노조, PD연합회, 민언련, 언론재단 등이 공동주관하고 있는 ‘올바른 총선보도를 위한 전국 순회토론회’가 계속되고 있다. 이미 부산, 인천·경기, 전북지역을 마친 전국 순회 토론회는 △18일 대전·충남 △20일 경남 △24일 대구·경북 △25일 광주·전남 △26일 강원 △27일 청주·충북 △3월 5일 제주토론회를 남겨 놓고 있다. 13일 열렸던 인천·경기 토론회와 19일 전북토론회 내용을 간추린다.



◇전북

후보자간 우열을 나열하거나 동정 따라가기식 보도 대신 유권자의 눈높이에 맞는 정책 중심의 보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론은 17대 총선보도에서도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일선 편집·보도국장은 원칙론에 공감하면서도 ‘현실론’을 제기했다.

16일 전북지역 8개 신문방송사 편집·보도국장과 언론학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총선보도 토론회에서 박민 광주·전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사무국장은 발제를 통해 “판세분석형 기사는 유권자들의 사표방지 심리로 이어져 특정후보의 당선을 돕는 결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박 국장은 이어 “언론사가 후보자의 정책을 검증하는 경우에도 해당 사안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유권자들이 이해하기 힘든 정도로 형식적 보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고 비판했다.

장낙인 우석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발제에서 “지방 미디어의 열악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이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하고 무엇을 알려고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 교수는 또 △후보들 간의 인신공격, 근거없는 자격시비를 있는 그대로 보도하고 △유권자가 정치에 대해 냉소적으로 반응하도록 하고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보도 등은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 편집·보도국장은 ‘현실을 무시한 원칙론’ ‘시민단체 언론모니터의 편향성’ 등을 제기하면서 시각차를 보였다. 문경민 새전북신문 편집국장은 “지역신문의 구독률, 영향력이 떨어지고 있고, 수도권 집중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언론에 바람직한 선거문화를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원칙론에는 회의가 든다”며 ‘현실론’을 내세웠다.

유동성 전라일보 편집국장은 민언련 등 시민단체의 언론모니터에 대해 “하나의 관점을 절대선으로 강조하고 있어 기존 언론과 갈등을 빚기도한다”고 주장했다. 신효균 전주방송 보도국장도 “시민단체가 입맛에 맞는 특정 후보의 당선을 위한 선거보도 감시를 한다는 느낌도 든다”고 지적했다.



◇인천·경기

13일 인천 문학경기장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4·15총선보도에서 지역언론의 역할과 현실적인 어려움, 대안을 찾는 논의가 이뤄졌다.

경인일보 송광석 편집국장은 “지역신문은 상대적으로 비용과 인력 면에서 현실적인 제약이 많다”며 “적극적인 투고 등을 통해서 지역신문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해 달라”며 신문독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인천일보 김규원 편집국장 역시 “경마식 보도, 거대정당 중심보도 개선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다”며 “유권자 참여와 시민저널리즘으로 보도의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경인방송 이충환 편집제작팀장은 “총선보도가 각사 사세대결의 장이 되어왔던 것을 부인할 수 없다”며 “거시적인 입장에서 언론사간 연대로 개별사의 한계점을 해결하자”고 제안했다.

또 경기방송 김태균 보도본부장은 “유권자들이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만큼 후보자 평가의 자리를 많이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발제자로 나선 인천대 이수범 교수(언론정보학)는 “지역언론의 어려움은 익히 알고 있다”면서 “다만 독자들은 정보의 ‘양’보다는 ‘질’적인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역 언론들의 분발을 촉구했다.

전주=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

인천=홍석재 기자 forchis@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