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참여정부 잘한 일"국정 브리핑 신설" 못한 일"공무원 접촉 제한"

본보 언론정책 관련 기자 여론조사

김신용 기자  2004.02.25 14:45:51

기사프린트

노무현 정부가 시행한 언론정책 가운데 ‘기자와 공무원의 비공식 접촉 제한’ 조치와 ‘인터넷 국정 브리핑 신설’이 각각 잘못한 일과 잘한 일 1위에 올랐다.

이같은 사실은 본보가 참여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 전국의 기자 3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 정부의 언론정책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 밝혀졌다. 관련기사 3면

기자들은 ‘기자와 공무원간 비공식 접촉 제한’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58.8%가 ‘잘못한 편’이라고 응답한 반면, ‘잘한 편’이라는 응답은 21.3%에 머물렀다. ‘보통이다’와 ‘잘 모르겠다’는 각각 19.6%, 0.3%였다.

그러나 ‘인터넷 국정 브리핑 신설’에 대해서는 54.6%가 ‘잘한 편’이라는 반응을 보였으며 △보통 26.9% △잘못한 편 15.6% △잘 모름 2.9%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같은 결과는 기자들이 정보를 공개하는 정책은 환영하는 반면 정보접근을 차단하는 조치에는 반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밖에 ‘신문고시’는 50.3%가 긍정(부정은 12.4%), ‘기자실 개방 및 브리핑룸제 도입’은 47.3%가 긍정적(부정은 24.6%)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언론 오보에 대한 소송 및 대처’에 대해서는 44.7%가 부정적(긍정은 26.8%)으로 평가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기자들은 또 노무현 정부가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언론정책으로 조선·중앙·동아 등의 독과점 해소(48.7%)와 지방언론의

육성(44.2%)을 꼽았다.

또한 기자들은 향후 노무현 정부의 언론정책 수행 전망에 대해서는 ‘지금과 비슷할 것’(52.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정부와 조·중·동의 관계가 ‘지나치게 긴장돼 있다’(80.3%)고 지적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조·중·동 등 일부 언론 때문‘(54.0%)이라는 응답이 ’대통령 때문‘(27.8%)이라는 응답보다 거의 두 배나 많았다.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언론자유가 신장됐느냐는 평가에 대해서는 ‘비슷하다’(47.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신장됐다’(31.0%), ‘축소됐다’(20.6%)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언론사 차별대우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한다’(52.0%)가 ‘동의하지 않는다’(27.2%)보다 훨씬 많아, 언론사간 차별대우 해소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한편 이번 조사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5.7%다.



김신용 기자 trustkim@jour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