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통신진흥법이 지난 8월 발효됐지만 7개월이 지나도록 대통령 추천 몫인 2명의 이사가 선임되지 않아 연합뉴스의 최대주주가 될 ‘뉴스통신진흥회’ 구성이 답보상태에 놓여있다.
더욱이 그동안 논란이 됐던 연합뉴스와 KBS, MBC간의 주식이관문제가 합의단계에까지 다다른 것으로 알려져, 주식을 인수할 주체인 뉴스통신진흥회가 빠른 시일에 발족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합노조도 국회와 언론단체에서 추천한 5명의 이사에 대해 ‘정치적 우려’를 표명했지만, 뉴스통신진흥법이 제대로 기능을 하려면 7인 이사회가 빨리 구성돼야 한다는 회사측 입장에 공감하고 있다. 노조는 다만 진흥법 정관에 따라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해 투명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사장이 선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문화관광부에 통보된 진흥회 이사는 이문호 전 연합뉴스전무(한나라당 추천), 오철호 전 연합뉴스 상무(국회의장 추천), 백화종 국민일보 주필(민주당 추천), 성병욱 중앙일보 고문(한국신문협회 추천), 오건환 한국방송협회 사무총장(협회 추천) 등 5명이다.
따라서 연합뉴스에 대한 경영감독, 예산승인, 사장추천 등 막강한 법적권한을 가진 뉴스통신진흥회의 발족 시기는 ‘청와대의 몫’으로 떠넘겨진 셈이다. 즉 뉴스통신진흥법 제4장 26조에 따라 대통령은 2명의 이사를 선임해, 이미 추천된 5명의 이사와 함께 임명해야 한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국가기간통신사의 중요성 때문에 여러 가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현재 역량이 있는 사람에 대해 검토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액면가 1만원인 연합뉴스의 주식은 총 13만주이며, 이 가운데 KBS가 42.35%인 5만5천55주, MBC가 32.16%인 4만1천787주를 각각 갖고 있다. 나머지 주식은 조선, 동아일보 등 19개신문사가 25.49%를 소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