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은 노무현 정부의 언론정책 가운데 △인터넷 국정브리핑 신설(긍정 54.6%) △신문고시(50.3%) △기자실 개방과 브리핑룸제 도입(47.3%)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언론의 오보에 대한 소송 및 대처(26.8%) △기자와 공무원의 비공식적 접촉 제한(긍정 21.3%)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 △신문가판 구독금지(긍정 37.2%)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가 다소 높았으나 잘못한 편이라는 응답(33.8%)도 적지 않아 전반적으로 평가가 엇갈렸다.
또한 ‘정부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될 언론정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중복응답)에는 △조선 중앙 동아 등 일부 언론의 독과점 해소(48.7%)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은 △지방언론육성 44.2% △공영방송의 공정성 강화 32.8% △기자와 취재원의 관계개선 20.2% △언론의 상업주의 타개책 마련 19.3% △대통령과 조중동 등 일부 언론간의 지나친 긴장관계 개선 15.5% △디지털 전송방식 논란 해결 12.7%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정 정책의 경우는 서울기자와 지방기자, 방송기자와 신문기자 사이의 의견이 크게 달랐다. 현 정부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할 정책으로 지방언론 육성을 꼽은 서울기자는 16.6%에 불과했으나 지방기자는 86.2%였다. 또 방송기자는 23.6%, 신문기자는 48.8%가 지방언론 육성을 선택해 편차가 컸다.
또 ‘조·중·동 등 일부 언론의 독과점 해소’라는 응답은 매체별로는 스포츠신문(55.6%)과 지방신문(52.5%)이, 부서별로는 정치부(56.6%)와 경제부(55.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공영방송의 공정성 강화’라는 응답은 서울(42.1%)이 지방(18.7%)보다 높았으며 △중앙일간지(46.2%), 스포츠신문(44.4%) △체육부(66.5%), 국제부(53.1%) △근무년수 6~10년(41.3%), 11년이상(40.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과 비교해 앞으로 남은 임기동안 노무현 정부가 언론정책을 얼마나 더 잘 수행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잘할 것’ 20.9%, ‘잘 못할 것’ 25.1%로 각각 나타났으며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2.4%였다.
이 항목의 경우 지역별, 매체별, 연차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만 중앙일간지의 경우 ‘잘못할 것’이라는 응답이 26.6%로 평균수치와 비슷했다.
“긴장관계 바람직하지않다” 46%
“근본 원인은 대통령보다 해당신문” 54%
[조중동 관계]
노무현 정부와 보수언론의 상징인 조·중·동과의 갈등은 ‘현재진행형’이다. 다행히 중앙의 의제설정 변화와 조선, 동아 청와대출입기자 출입제한조치 해제 등 일부 변화가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청와대는 원칙론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양측의 긴장관계해소는 이번 여론조사결과 나타난 기자들의 바람과 관계없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조·중·동간의 긴장관계’를 묻는 질문에 대부분의 기자들은 노무현 대통령과 조선, 중앙, 동아 등 일부언론이 지나친 긴장관계에 놓여 있다(80.3%)고 보았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견해는 17.1%에 불과했다. ‘지나친 긴장관계라는 주장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스포츠신문(88.9%) △문화부(92.9%), 사진·보도영상부(88.9%), 사회부(86.3%)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정부와 ‘조중동’이 지나친 긴장관계라고 보는 기자들(n=241)의 절반에 가까운 46.3%는 이러한 긴장관계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반면 바람직하다는 25.0%였고 ‘그저 그렇다’는 유보적인 응답은 28.3%였다.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은 △스포츠지(54.2%), 경제지(53.8%) △사진·보영부(60.4%) 편집부(52.0%) △근무년수가 길수록(11년 이상 54.7%, 6∼10년 50.3%, 1∼5년 38.4%) △국·부·차장급(55.7%)이 평기자(42.4%)보다 높았다.
기자들은 또 이같은 지나친 긴장관계의 책임 소재는 ‘대통령’보다 ‘조중동 등 일부언론’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조사 결과 정부와 ‘조중동’이 지나친 긴장관계라고 보는 기자들의 과반수(54.0%)는 긴장관계의 책임을 ‘조중동’에서 찾았다. 반면 ‘노 대통령’이라는 응답은 27.8%였다. ‘잘모르겠다’는 18.2%. 이 가운데 △지방(62.1%)이 서울(48.7%)보다 △방송(60.9%)이 신문(52.4%)보다 △근무년수가 짧을수록(1∼5년 63.7%, 6∼10년 56.6%, 11년 이상 38.9%) 긴장관계의 책임이 ‘조·중·동’에 있다고 응답했다.
긴장의 책임을 ‘대통령’에서 더 많이 찾은 응답자들은 △스포츠신문(33.3%) △정치부(32.8%) △근무년수가 길수록(11년 이상 37.5%, 1∼5년 20.8%) △평기자(24.7%)보다 국장~차장급(35.2%)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통령과 일부 언론의 긴장관계와 관련된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44.0%로 가장 높았다.‘앞으로 완화될 것’(38.0%)이라는 전망이 ‘심해질 것’(15.7%)이라는 전망보다 많았다. 특히 ‘심해질 것’이라는 응답은 △경제부(26.2%) 체육부(26.2%) △평기자(18.7%)가 간부(8.2%)보다 높게 조사됐다.
“언론사 차별대우 있다” 52%
‘언론자유 ‘신장’ 31%-‘축소’ 21%
[언론자유와 언론사 차별]
노무현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언론자유는 언론의 특권의식과 기득권을 먼저 버려야 하며 법과 원칙에 따라 보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이러한 언론정책으로 인해 많은 저항과 비난이 쏟아졌지만 이번 조사 결과 ‘현 정부 출범 이후 언론자유 신장’에 대한 평가는 ‘신장됐다’(31.0%)는 응답이 ‘축소됐다’(20.6%)는 응답보다 높았다. ‘이전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47.7%.
매체별로는 방송(36.4%)이 신문(29.7%)보다 신장된 편이라는 응답률이 높았다. 또 △중앙방송(40.0%) 스포츠지(37.0%) △사진·보영부(51.2%)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축소된 편이라는 응답은 △경제지(38.1%) △경제부(37.6%)에서 특히 많아 경제파트에서 노 대통령의 언론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는 특징을 보였다.
‘노무현 정부가 자신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 언론사 또는 소속 기자들을 차별적으로 대우한다는 지적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그렇다’고 답했다.
기자들의 과반수에 달하는 52.0%가 노무현 정부가 언론사 및 소속기자들을 차별 대우한다는 주장에 동의한 반면, ‘그렇지 않다’는 견해는 27.2%에 그쳤다. 또 ‘그저 그렇다’는 응답은 18.8%, ‘잘 모르겠다’는 2.0%였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서울(54.3%)이 지방(48.6%)보다 △신문(54.0%)이 방송(43.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신문(81.0%) △편집부(67.1%) 체육부(58.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지방지(32.5%) △사회부(35.9%), 사진·보영부(35.6%) △근무년수가 길수록(11년 이상 33.5%, 6∼10년 26.8%, 1∼5년 22.6%) △간부(32.7%)가 평기자(24.7%)보다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