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구독료 인하 파장 요동치는 신문시장

공배제 참여 5개사 법적대응 등 대책마련 분주

김창남 기자  2004.02.25 15:05:55

기사프린트

중앙일보와 조선일보가 신문구독료를 인하한 가운데 공동배달제 참여 5개사도 구독료 인하에 대한 대책 찾기에 나섰다. 또 각 신문 지국들도 본사와 관계없이 독자적인 구독료 인하에 나서는 등 신문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경향신문·국민일보·문화일보·세계일보·한겨레 등 공배제에 참여한 5개사는 24일 오전 문화일보에서 공동대처를 위한 모임을 갖고 ‘중앙일보 구독료’ 인하에 대한 대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는 5개사 기획국·영업국·편집국 등 실무자 10여명이 모여 의견을 교환했으나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는 못했다.

이와 별도로 한겨레는 지난 9일 실국장회의에서 중앙 등의 구독료 인하 방침에 대응하기 위한 ‘구독료 인하 대책 TF팀(가칭)’을 구성해 다음주 중에 구체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TF팀에는 편집국, 독자서비스국, 법무팀, 경영기획실 등 실무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구독료 인하에 대한 법적 대응도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 중이다.

한겨레 최영선 경영기획국 실장은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대해 법률적 검토뿐만 아니라 신문협회 등과의 공동 대응도 고려하고 있다”며 “현재 공배제 참여사는 ‘구독료 인하 불가’를 내부 방침으로 정하고 다각도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여타 신문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묘책을 찾고 있으나 뚜렷한 대책이 없는 가운데 일부 신문 지국 등이 생존을 위한 독자적인 행보에 나섰다. 특히 동아의 경우 일부 지국을 중심으로 구독료 인하 관련 전단지가 배포되는 등 본사 방침과는 다른 별도의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다. 본보가 입수한 동아의 한 지국에서 배포된 전단지에는 “구독료가 도중에 인상돼도 2년간 월 구독료를 1만원씩 내면, 4만 8천원이나 할인 된다”며 자동이체 신청을 종용하는 광고 문구가 삽입됐다.

한 신문사 판매국 관계자는 “본사와 지국은 수직적인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사업자 관계이므로 각 신문 지국들이 생존을 위해 독자적으로 구독료를 인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특히 강남보다는 강북 그리고 분당, 일산 등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생존을 위한 자체 할인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