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탈북 국군포로' 보도 고민

조규장 기자  2004.02.25 00:00:00

기사프린트

외교부, 보도자제 공식요청 검토중

언론사 “사례 다양 일괄잣대 곤란”







외교부가 각 언론사에 ‘탈북 국군포로’와 관련된 보도의 자제를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한동안 잠잠했던 국군포로 보도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신동아 3월호와 17일 KBS뉴스9, 19일자 동아일보는 현재 중국에 억류중인 탈북 국군포로 K씨의 실명과 나이를 언급하면서 정부의 뒤늦은 대응을 비판하고 나섰다. 세계일보, 국민일보, 연합뉴스도 한 국군포로가 중국 공안에 체포됐다고 18일 보도했지만 실명이 아닌 ‘K씨’로 표기했고 나머지 언론사는 보도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국군포로들의 실명이 언론을 통해 알려질 경우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들의 신변에 생길 수 있는 불이익 때문에 당사자들이 매우 힘들어 한다”며 “한·중간의 교섭을 고려해 (일정 기간) 보도를 하지 않는 게 좋겠지만, 만에 하나 보도를 하게 되더라도 실명을 밝히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외교부 출입기자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있지만 국군포로 문제를 정치부가 아닌 통일부나 사회부에서 다루는 등 언론사마다 차이가 있어 이해를 구하기가 어렵다”며 “탈북자 보도와 관련, 각 언론사에 비보도 공식 요청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외교부를 출입하는 한 신문사 기자는 “국군포로 신상의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에 출입기자들도 보도 여부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은 물론 내부논의도 많이 해오고 있다”면서도 “탈북자 문제는 사안마다 성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보도여부를 놓고 일괄적인 잣대를 들이대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그동안 국군포로와 관련된 기사의 경우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의식하게 돼 송환이 지연된다는 주장과 △정부의 안이한 대응이 귀환을 지연시키고 있는 만큼 신속한 보도를 통해 정책변화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해왔다.

조규장 기자 natash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