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전문비평지에 게재된 글이 아니다. 청와대가 출입기자들과 언론사에 배포하는 「청와대 브리핑」자료의 일부 제목이다. 제목만 놓고 보면 ‘언론과 맞짱’이요, ‘무소불위의 힘’을 느끼게 한다. 하지만 특정 사안에 대해 공개적이고 적극적으로 해명을 시도하려 한 점 등은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25일 참여정부출범 1주년을 맞아 A4크기로 매일 나오는 ‘청와대 브리핑’<사진>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브리핑은 때로 대통령의 활동을 멋지게 상품화(?)해 왔으며, 한편으로는 잘못된 보도에 대해 큰소리를 치면서 대통령에 대한 ‘제2의 경호’를 해왔다. 한마디로 대통령의 입과 눈의 역할을 해온 셈. 또한 대통령에게 확고한 언론관을 심어주고 ‘철벽언론’의 기조를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공신’이라 할 수 있다.
청와대브리핑은 크게「기획」과「해명&반론」으로 나눠진다. 기획은 당일에 있었던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관한 말과 행사 등을 기사화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사안에 따라 시리즈를 쓰기도 하며 톱과 사이드, 단신, 박스 형태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는 매주 1회 열리는 대통령주재의 수석·보좌관회의와 국무회의 등 기사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해명&반론 코너는 ‘수구보수 언론의 대항마’로 일컬어질 정도로 ‘앙칼지고 유려한 비판’을 담고 있다. 주로 중앙일간지 사설이나 기사에 대한 분석과 반론이 많다. 기사 한 줄, 문구하나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으로 반박하기도 한다.
하지만 청와대 입장만 전달하다 보니 오보를 낸 경우도 있다. 지난달 6일자 지령 215호에 게재된 국민일보 외교부 기사에 대한 법적대응방침 글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청와대 브리핑은 국정홍보수단으로 그 값어치를 톡톡히 하고 있지만 적대적이고 反언론적인 표현이 종종 눈에 띈다”며 “기자들은 언론위에 군림하려는 브리핑자료보다는 ‘어떻게 하면 언론에서 있는 그대로 보도해 줄까’를 고민하는 기초자료를 보고 싶어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