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빠르면 상반기 중 창업주인 방응모씨의 친일행적 등을 조사, 연구한 자료집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 같은 조선의 친일행적 추가 공개방침은 “조선일보의 일제하 친일행적에 대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는 대내외적인 주장과도 맞물리는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3면
더구나 지난달 27일자 ‘조선노보’에서도 “민족사를 돌아볼 때 터무니없고 억울한 것도 있으나 거추장스러운 혹들을 하나씩 떼어버려야 한다”는 장문의 기고가 게재된 바 있어 반성이나 사과의 말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조선은 지난해 11월부터 조선총독부 경찰비밀감찰기록 등 2000페이지가 넘는 문건을 입수해 조선일보에 관계된 모든 기록을 번역, 연구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 조선은 특히 2000년 8월에 발간된 ‘조선일보80년社史’에서 친일부분을 있는 그대로 게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비가 일자, 더욱 철저히 연구해 자발적으로 공개할 방침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조선일보 방상훈 사장은 2일 본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지나가는 과거에 집착하면 발전이 없다”며 “누구든지 판단할 수 있게 일제시대 친일과 관련된 부분을 추가로 조사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전부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방 사장은 최근 일고 있는 신문판매시장의 혼탁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시장의 70~80%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 중앙 동아일보가 먼저 “과열 판촉을 하지 말자”는 공동선언을 하자고 제안했다.
방 사장은 “정부 주도의 신문판매시장 정상화는 마찰과 실패를 낳을 수 있다”며 “조·중·동이 먼저 사주나 경영진끼리 믿음을 갖고 공동선언을 한 뒤 실천에 옮긴다면 신문판매풍토가 현저히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 사장은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수준은 못되더라도, 북한 주민들이 최소한의 기본적인 인권은 누릴 수 있도록 언론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실태 등은 국제적 관심사가 되고 있는 만큼 더 이상 국제여론이 악화되기 전에 인권상황이 개선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