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 국민 문화 세계 한겨레 등 공배제 참여 5개사들이 최근 중앙일보의 ‘자동이체시 구독료 인하’ 조치를 일제히 비난했다. 앞서 전국지방신문협의회도 지난달 항의 성명을 발표하는 등 ‘구독료인하 논란’이 ‘신문시장 패권싸움’으로 번질 전망이다.
공배참여 5개사는 8일 일제히 자사지면(국민 제외)을 통해 중앙일보사의 구독료할인은 “가격덤핑 전략의 산물에 불과하다”고 “덤핑경쟁을 촉발한 장본인은 신문협회 회장”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5면
이들 5개사는 또한 “신문협회는 산하 중앙지와 지방지 판매협의회의 거듭된 해명 및 시정 요구에 대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는 납득하기 어려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우리는 신문시장의 정상화 및 독자서비스 향상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주최한 ‘신문시장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토론회에서도 이정호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국장은 “구독료 인하는 한국신문시장의 고전적 구조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인하로 인한 비용을 경품판촉전에 사용한다면 시장의 낙후성은 개선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전국지방신문협의회도 지난달 19일 우리의 입장이란 성명을 통해 “지방신문시장의 붕괴를 가져올 구독료 할인행사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 채 눈앞의 광고수입에 집착, 자사지면에 전국지의 구독료 할인광고를 실은 한심한 행태에 개탄을 금치 못한다”며 “신문시장의 공멸을 가져올 이번 사태의 수습책을 논의할 대책회의를 즉각 소집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중앙일보 경영기획실관계자는 “중소신문들이 주장하는 것은 변화를 두려워하고, 기존 틀 속에서 안주하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라며 “구독료인하는 오히려 가격의 다양성과 신문의 질적 경쟁을 촉발시켜 궁극적으로는 독자서비스를 강화하고 ‘신문시장의 유통혁명’을 가져올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우리가 지난 10개월동안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연구한 구독료인하와 관련한 ‘P프로젝트’를 공개할 방침”이라며 “우리는 예정된 계획대로 ‘신문유통혁명’을 이끌 수 있는 차세대 멀티마케팅 사업에 박차를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