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들은 언론의 정치보도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권자의 절반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실시 사실을 모르고 있으며 20~30대가 40~50대보다 더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전국언론노동조합이 4.15총선과 관련 바람직한 언론의 보도 방향을 위해 리서치 플러스에 의뢰, 전국의 20세이상 성인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선거보도에 대한 유권자 의식조사’에서 밝혀졌다.
유권자들은 ‘현재 신문, 방송 등 언론의 정치보도에 만족하십니까’라는 질문에 39.7%가 ‘불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만족한다’는 19.3%에 불과했다. 그 이유로는 ‘정쟁과 폭로전 중심의 보도’(67.9%)때문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정치인의 도덕성 검증보도의 부족’(16.9%), ‘정책비교 보도의 부족’(6.3%)이 각각 뒤를 이었다.
또한 ‘가장 비중있게 보도해야하는 내용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유권자의 32.2%가 ‘각 당과 후보자별 정책소개’를 꼽았으며 ‘부정선거 감시활동’ 29.8%, ‘각 당과 후보자별 차이분석’ 16.2%, ‘주요정치인의 발언’ 13.9% 등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번 총선에서 새롭게 도입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실시 인지도 조사에서는 유권자의 51.3%가 ‘모른다’(‘안다’ 48.7%)고 대답해 이 제도에 대한 보도가 부족했음이 드러났다. 특히 20대(31.6%), 30대(49.2%)가 40대(58.9%), 50대(55.2%)보다 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젊은 유권자일수록 정치에 무관심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총선에 대한 각종 정보취득은 어떤 매체에서 하는가’라는 질문에서는 유권자의 65.6%가 텔레비전이라고 답해 각 정당이 미디어정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가 증명된 셈이다. 이어 신문이 텔레비전의 3분1에 불과한 19.5%를 차지했으며 인터넷매체 11.9%, 동료나 친지 1.8%, 라디오 0.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선에서 투표할 생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68.5%가 ‘투표의향이 있다’라고 응답한 반면 ‘투표의향이 없다’고 답한 사람은 15.2%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유권자들은 ‘의정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국회의원을 유권자가 소환할 수 있는 국민소환제도입이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90.6%가 ‘필요하다’(‘필요하지 않다’ 6.5%)고 응답, ‘국회의원이 잘못하면 처벌해야 된다’는 의식이 강한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2일에서 5일까지 4일간 실시됐으며, 표본추출은 16개 광역시도별 유의할당 및 광역시도내 성별, 연령별 비율에 따른 비례할당을 원칙으로 남자 1253명, 여자 1265명을 대상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