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론사들의 총선보도가 소수정당의 정책을 소개하고 노골적인 지역주의적 표현을 자제하는 등 형식적인 면에서는 개선됐지만, 특정 정당 편들기와 인물 중심의 보도 등 내용면에서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전·충남과 충북지역의 경우는 자민련에 편향적이고 지역주의를 조장하던 종래의 보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총선이 가까워지면서 자민련에 대한 보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은 물론 자민련 선거전략을 여과 없이 보도하는 등 여전히 지역주의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충남민언련 우희창 사무국장은 23일 “지역주의에 대한 노골적 표현이 사라지고 각 정당의 정책이나 공약을 지면에 할애하는 등 형식상 개선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표현의 세련화에 비해 내용적 개선은 찾아보기 힘들다”고 밝혔다.
부산·경남 지역의 경우도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보도가 현격히 줄었지만 친노·반노 등 정치적 이해에 따른 보도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대통령 탄핵 가결 이후 국제신문과 부산일보 등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주장과 입장만을 주요하게 다뤄 특정 정당에 대한 일방적인 편들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 광주·전남 지역의 언론들은 정치적 내분사태의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 정쟁과 이에 따른 중계보도에 열중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조선대 오수열 교수는 “총선보도가 정치권의 당리당략적 선거 전략을 보도하거나 평면적인 유세중계에 그치는 등 정치권에 대한 양비론으로 흘러 자칫 유권자들의 무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지역언론의 총선보도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있지만 언론사들의 반응이나 피드백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언론사들의 반응을 촉구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충남민언련 한상헌 기획팀장은 “모니터링이 끝나면 총체적인 분석 자료를 만들고 지역언론발전법의 적용 대상에 대한 참고 자료로 삼을 계획”이라며 “보도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항의방문이나 구독거부 운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