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3사가 한나라당 대표 경선 토론회를 중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가 번복하자 “한나라당의 외압에 굴복한 것 아니냐”는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KBS와 MBC 노동조합이 성명을 낸 것은 물론 네티즌과 시청자들의 비판도 쏟아졌다.
당초 KBS와 MBC는 한나라당의 경선 토론을 내보내는 것은 ‘선거법의 문제가 아니라 방송사 양심의 문제’라며 △열린우리당 등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게 분명하다는 점 △경선 출마자 대부분이 총선에서 지역구로 나서기 때문에 동일 지역구의 타 후보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점 등을 이유로 토론 불가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한나라당 경선 후보들이 KBS와 MBC를 항의방문 한 직후인 19일 저녁 뚜렷한 명분 없이 당초 방침을 번복했다는 점에서 ‘외압’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KBS노조는 20일 성명을 내고 “사측의 토론 중계 수용 방침은 한나라당 측의 항의 방문과 협박성 성명 이후에 나왔다는 점에서 경영진이 ‘차떼기당’의 막무가내식 협박에 굴복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공개 천명한 편성 원칙을 밀실에서 뒤집은 배경을 밝히고 재발방지를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MBC 노조도 같은 날 성명에서 “처신이 태산같이 무거워야 할 엄중한 시기에 경영진은 가벼운 처신으로 회사에 상처를 입혔다”며 “경영진의 원칙 없는 결정이 되풀이된다면 회사는 대다수 여론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것은 물론이고 MBC인들의 책임 추궁 역시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MBC 고위 관계자는 “처음에 한나라당이 MBC의 방송세트와 토론자를 요구해 방송 불가 방침을 내세웠으나 추후 한나라당이 자체 조달하기로 해 방송을 내보내기로 했다”고 밝혔으며 KBS 관계자는 “더 이상 할 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