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취재반 구성…주요부서 풀가동
온·오프라인 연계 효율성 극대화
탄핵정국 여파 민심르포·심층기사 ‘중점’
4·15총선 15일을 앞두고 후보자들의 선거유세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언론사들의 총선 보도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언론사들은 특별취재반을 구성하거나 편집국 주요 부서를 풀가동하는 등 자사에 맞는 총선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언론사들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계해 독자들에게 빠르고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등 효율성 극대화에도 나서고 있다.
이번 17대 총선보도의 핵심은 유권자들이 정책과 인물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어느 정당 후보이냐에 관심을 더 갖게 되면서 정당중심의 보도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탄핵정국’이라는 큰 이슈가 선거당일까지 쟁점이 되면서 후보자들의 승패를 가늠할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14개 중앙지와 주요방송사 정치부장들에 따르면 이번 총선의 방향은 후보자간 정책대결이지만 이미 실종된 것으로 판단하고 “민심의 흐름에 맞는 심층보도와 유권자 중심의 보도를 하겠다”고 밝혔다.
정치부장들은 또한 “정파를 떠난 공정한 보도와 불편부당한 보도를 대원칙으로 총선보도를 할 것”이라고 밝혀 그동안 고질적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던 ‘경마식보도’와 ‘중계식보도’가 어느 정도 사라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방송사들의 총선 당일 출구조사를 통한 ‘당선자 맞추기’도 관심이 대상이 되고 있다.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등은 35~60명에 달하는 특별취재반을 가동하고 있다. 경향은 올해 처음으로 20명으로 구성된 ‘시민기자단’을 출범, 지역민심과 선거풍속도를 취재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부터 총선보도를 준비한 동아는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45명의 교수진 및 연구팀, 각계 전문가 20명 등과 함께 심층적이고 객관적인 보도를 전개할 방침이다. 지면할애도 타사보다 많은 5~6개 면을 유지하면서 전체 지역구를 모두 다루기로 했다.
한겨레도 ‘시민행동단’, 참여연대와 공동으로 선거감시 캠페인을 전개하고 신문사임을 밝히지 않고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등 민심탐방과 총선지형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기로 했다. 한국도 소설가 2명을 통해 본 ‘전국 총선현장 르뽀’를 게재하고 정당중심의 보도 원칙아래 인물과 정책을 알리는데도 노력할 예정이다.
문화일보 서울신문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은 특별취재반을 별도로 가동하지 않고 정치부 사회부 사진부 전국부 등 주요 부서와 함께 총선보도에 나서고 있다.
문화는 ‘정치의 희망 찾기’란 기치아래 ‘가자, 무보수 자원봉사 시대로’라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온라인 선거사이트에 후보자들의 면면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M북’을 만들어 네티즌들에게 무료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은 선거사상 처음으로 ‘총선후보자 채점운동’을 전개해 유권자의 선거참여와 정치개혁을 선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 말부터 서울, 부산 등 전국 6대도시에서 ‘후보자 채점 거리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조선은 릴레이 보도보다는 분석적인 기사, 소설가 2명을 통한 민심탐방기획에 무게를 두기로 했다. 중앙도 모든 기사에 감정을 배제하고 팩트 위주의 기사를 담아낸다는 계획이다. 두 신문은 조선닷컴과 조인스닷컴에 각각 총선사이트를 운영하면서 후보자 정보는 물론 설문조사결과 등을 자세하게 제공하고 있다.
KBS MBC SBS CBS YTN 방송들도 ‘공정보도’라는 방송 강령을 중시하면서 지역민심과 국민여론을 중점적으로 보도해 나가기로 했다. 이들 방송사들은 미디어의 위력이 커지고 정치적 격변기에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불편부당한 보도를 하겠다는 각오다. 이와 함께 이들 방송사들은 총선당일 출구조사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느 당이 1당이 되고, 누가 당선됐느냐가 국민적 관심사라는 판단에서이다.
CBS 이길형 부장은 “당초에는 인물과 정책을 구체적으로 검증하려고 했으나 탄핵정국 때문에 뉴스가치가 밀리고 있다”며 “때문에 유권자들에게 편견을 버리고 공정한 잣대로 후보자들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려 한다”고 말했다.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