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탄핵정국 칼럼 대결양상 초점

'찬탄-반탄' 국론분열 부각

홍석재 기자  2004.03.31 10:41:15

기사프린트

국민일보 등 대결구도 경계…민의 강조





‘탄핵정국’을 다루는 사설 및 칼럼의 보도가 사회구성원 간 ‘대결 양상’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선일보는 23일자 사설 ‘탄핵 반대 가담 다음 공직자는 누구냐’에서 ‘탄핵 반대’ 참여를 ‘가담‘으로 규정하고 “탄핵 반대를 외치는 것은 남이 장에 간다니까 덩달아 따라 나서는 행위와 뭐가 다른가. 이 마당이 됐으니 탄핵 반대의 대열에 검찰, 경찰, 군까지 합세하지 말란 법이 없다. 그럼 이 나라는 해체되고 말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조선은 또 19일자 ‘김대중 칼럼’에서 “어차피 우리 사회는 벌써 두 동강이 났다”라며 “이 갈등 구조를 친노·반노의 차원을 넘어 죽느냐 사느냐, 죽이느냐 죽임을 당하느냐의 이분법적 선택으로까지 몰고 가는 상황에 이르렀다”, “변화와 개혁이란 이름 아래 반대자를 숙청하는 분위기와 상황이 연출될 것으로 우려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24일자 사설에서 “편파 방송은 계속 나가고 이를 제재할 수 있는 결정이 계속 연기되면 누구에게 득이 되겠는가”라며 방송이 ‘편파방송’을 하고 있다는 것을 기정사실화한 채 이해 득실을 따져 물었다.

동아일보 역시 17일 ‘최규철 칼럼’을 통해 “이미 ‘코드 인사’와 ‘친북 반미’ 좌경화 논란 등을 둘러싸고 누적돼 온 국론분열”이라며 “결국 사회주류를 바꿔 버리겠다는 핵심 세력의 결의가 그만큼 확고하다는 증좌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와 달리 국민 한겨레 등은 탄핵정국 이후 자연스럽게 부각된 이념적 ‘대결구도’를 경계하는 기사를 실었다.

국민일보는 27일자 사설에서 촛불집회를 진행하는데 있어 “우려되는 것은 법질서를 지키려는 공권력과 집회결사의 자유를 주장하는 집단 간 정면 충돌”이라며 탄핵정국 동안 집단 간 대결 양상의 후유증과 국가적 손실에 대해 염려했다.

한겨레신문도 22일자에서 “‘친노와 반노’로 사태를 왜곡한 일부 언론은 여전히 사태의 본질을 깨닫지 못한 채, ‘배후세력’이나 ‘불법집회’ 따위를 들먹이고 있다”며 “국민의 뜻이 어디에 있는지는 모든 여론조사 결과에서 분명히 나타났다”고 세력 간 ‘대결구도’를 경계하면서 여론조사 결과를 강조했다.

홍석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