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국민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한겨레 등 5개 신문사가 지난해 11월에 설립한 한국신문서비스(주)가 사업시행 4개월이 지나도록 정상궤도를 찾지 못하고 삐걱거리고 있다.
공동배달제를 시행키 위해 출범한 한국신문서비스는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한 구독료 인하 경쟁뿐 아니라 공배제 참여 5개사의 이해관계 등이 얽히며 사업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이 때문에 출범 4개월 동안 뚜렷한 성과물도 내지 못한 채 각 사가 분담금으로 내놓은 자본금 5억원 중 이미 3억원이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신문서비스 인수인계 작업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전임 사장에 대한 예우를 위해 높은 연봉과 비서 그리고 승용차가 지급되는 등 3억원 대부분이 인건비와 임대료 등에 사용됐다”고 말했다.
게다가 최근 들어서는 공배제 프로젝트에 참여할 연구자 인선을 둘러싸고 참여사 간 시각차마저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공배참여 5개사는 26일 판매국장단 회의를 갖고 새로운 ‘공배제 프로젝트’를 진행할 연구자 2~3명을 새집행부 측에 추천키로 했다. 그러나 연구자로 추천된 전 모씨와 김 모씨 등은 모두 전 집행부에서 활동했던 인사들이어서 일부에서는 한국신문서비스를 현 상태에 이르게 한 책임을 묻지도 않고, 또다시 이들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겨레 류정기 판매국장은 “추천인사 모두 초기에 사업계획에 참여했다기보다는 영업 쪽에서 일했던 인사들이므로 별 문제가 없다”며 “현 상태에서 사업을 다시 처음부터 진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사업보고서를 통해 문화관광부와 의견을 조율하면서 얼마든지 연구자들을 교체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신문서비스 관계자는 “현재 수시로 사장단 회의와 판매국장단 회의를 통해 향후 한국신문서비스의 정상화 방안을 논의 중이며 이에 따라 오는 4월초 한국신문서비스의 새로운 진로가 결정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신문서비스는 현재 초대 전만길 사장에 이어 한겨레 고희범 사장이 지난 2월18일부터 임시 대표이사직을 맡고 있다. 한국신문서비스는 또 임대료를 절약하기 위해 지난 2월 기존 프레스센터에 있던 사무실을 세계일보 지하로 옮겼으나 상근 직원 한 명도 없이 집기만 방치해 놓은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