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방송위는 '고달퍼'

보수신문"물징계"… 언론단체"눈치보기"비판도 제각각

조규장 기자  2004.04.07 11:30:05

기사프린트

방송위원회가 탄핵방송에 대해 ‘권고’ 조치를 내린 이후 언론계의 잇따른 비판에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방송위의 ‘권고’ 조치에 대해 보수신문들이 ‘물 징계’라고 비판하고 있는 반면 한겨레와 언론단체들은 ‘눈치보기’라고 비난하고 있다.

방송위 보도교양제1심의위원회(위원장 남승자)는 지난달 24일 탄핵 관련 방송의 공정 여부를 관련 학회에 의뢰하겠다고 밝힌 후, 학회 결과가 나오기 전인 31일 “지상파 방송 3사에 앞으로의 보도를 신중하게 해 줄 것을 ‘권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조선일보는 2일자 기사 ‘방송위 물징계…총선 앞두고 몸사리기’에서 “탄핵 관련 뉴스·시사프로그램에 대해 편파시비가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이를 감시·감독해야 하는 방송위원회가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우려가 높다”며 “방송위가 개별 프로그램에 대해서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사이에도 MBC와 KBS의 몇몇 시사프로그램들은 편파논란을 계속 생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한겨레는 지난달 30일자 기사에서 “방송위가 막상 전권이 주어진 중요한 심의 안건에 대한 가치판단을 외부에 의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특히 야당과 일부 수구신문이 편파성 논란을 집중적으로 제기하면서 탄핵 관련 의제의 표적을 방송으로 옮기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위의 대처가 너무 미온적이라는 지적도 있다”고 비판했다.

또 PD연합회가 1일 성명을 통해 방송위 보도교양제1심의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선데 이어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도 같은 날 논평에서 “그동안 (방송위의) 신중함을 고려해볼 때 혹시 외부의 압력을 의식한 ‘정치적 판단’이 아니었는지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방송위 관계자는 “재판과정과 마찬가지로 심의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언론이 신중을 기하는 게 기본인데 일부 언론이 방송위의 제도적인 부분까지 무시하면서 각자 생각만 강요하고 있다”며 “방송위에 대한 언론의 압력행사가 자칫 심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동아일보는 1일자 기사 ‘방송위 “TV 탄핵방송 신중히 해야” 권고조치’에서 “방송위가 탄핵 관련 방송의 일부 프로그램들이 공정성 결여 등 문제가 있음을 사실상 인정한 것”이라고 보도 했지만 방송위는 “권고조치는 사안의 민감성과 사회적 논란을 감안해 향후 관련보도에신중을 기해달라는 의미”라고 반박했다.

조규장 기자 natash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