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17대 총선 기자출신 당선자 20명 전화인터뷰

언론개혁 입장차 '뚜렷'

취재팀  2004.04.21 15:43:34

기사프린트

우리당, 정간법·방송법 개정 추진

한나라당 “타율적 재편 발상 위험”





17대총선에서 당선된 기자출신 당선자들이 생각하는 언론개혁에 대한 입장차이가 여·야간에 뚜렷이 나타났다.

열린우리당 당선자들은 언론개혁 추진에 적극적인 반면 한나라당 당선자들은 타율적인 언론계 재편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를 밝혔다.

따라서 17대 국회는 출범 초기부터 언론개혁을 두고 여·야 의원들뿐만 아니라 당사자인 언론에서도 뜨거운 논란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2·3면

이 같은 사실은 본보가 19일 기자출신 당선자 20명을 전화 인터뷰한 결과 밝혀졌다.

열린우리당(이하 우) 당선자들은 언론시장 정상화를 위해서는 정간법과 방송법을 조속히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동아일보 출신인 김재홍 당선자(우)는 “참여정부가 남은 4년 동안 개혁을 잘하려면 여론형성의 정상화가 시급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족벌언론에 대한 소유지분 제한과 일반기자들도 참여하는 편집제작협의회를 법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장 출신인 김태홍 당선자(우)는 “족벌체제의 언론사가 전국의 여론을 과점한 상태에서 보수 수구적인 논지를 폄으로써 우리 역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며 “한시바삐 정간법 개정 등을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겨레 출신인 문학진 당선자(우)도 “거대 언론사들의 족벌 경영문제는 반드시 해결돼야 할 과제”라며 “특히 유력지들이 경품을 갖고 신문판매하면서 신문시장을 어지럽히는 것은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 민병두, 박병석, 신중식, 임채정 당선자들도 편집권 독립과 언론시장의 독점이 시정돼야 한다는 원칙적인 답변과 함께 17대 국회에서 어떤 형태로든 공론화 과정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달리 한나라당(이하 한) 당선자들은 정간법이 국회에서 다뤄지면 또 다른 정쟁을 낳을 수 있다면서 족벌언론의 소유제한 반대를 분명히 했다.

KBS출신인 김병호 당선자(한)는 “정부나 정치권력이 언론개혁을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언론 스스로 개혁의지에 의해 실천돼야 하며 보수·진보 언론 등을 통해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인일보 출신인 남경필 당선자(한)는 “정간법을 손대는 것은 소유지분 제한을 하자는 것이며, 이는 또 다른 극한의 대립으로 갈수 있다”며 “따라서 취재관행 변화 등 실천 가능한 개혁을 진행하면서 충분한 시간과 공론화속에서 법개정이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출신인 박형준 당선자(한)도 “임의적 언론재편의 발상은 위험하며 자칫 신문의 자율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언론개혁의 핵심은 언론안에 내재된 음성화된 관행을 투명화하려는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고흥길, 곽성문, 박성범, 이경재, 최구식, 최경환 당선자들도 언론개혁은 당리당략이 아닌 언론 스스로 논의해 풀어가는 것이 최선이며, 언론도 이 점을 깨달아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민주당 이낙연 당선자는 언론의 지향점은 공정성이라며 언론개혁에 대한 즉답을 피했으며,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표는 지난 16일 특별기자 회견을 통해 “언론이 개혁되지 않으면 정치개혁은 불가능하다”고 방송법과 정간법을 개정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