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가 뉴스통신진흥회 미구성, 예산부족 등으로 특파원 제도 개선에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지역전문기자, 통신원 활용, 특파원관련제도개선위원회 구성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해 ‘뉴스통신진흥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국가기간통신사로 지정된 연합은 정보주권수호를 내세워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특파원 규모를 대폭 늘리는 방침을 세웠다. 현재 18개 지역 23명의 특파원을 운영하는 연합은 향후 100여명으로 그 숫자를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작년 8월 ‘뉴스통신진흥법’이 발효된 이후 ‘뉴스통신진흥회’ 이사 7명 중 대통령 추천 몫 2명이 대통령 탄핵 가결안 통과에 따른 직무정지로 인해 현재까지 선임되지 않아 구성 완료 시기가 불투명하다.
특파원 숫자를 늘리는 데는 예산도 만만치 않다. 한 명의 특파원에 들어가는 비용은 급여를 제외하고 1년에 약 1억 5천만원 정도. 연합은 정부에서 1백27억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지만 이는 장비투자에 국한돼 있어 구독료와 전재료 등 자체 수익으로 특파원 운용을 해야하기 때문에 1백여명의 특파원 확충은 사실상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연합은 최근 중앙일보의 해외 지역전문기자 시스템의 운영을 참고하고 현재 운영중인 해외 통신원 확충 등 시스템 변화를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기자의 취재 능력 등 전문성의 결여가 걸림돌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영기획실 유택형 차장은 “어느 정도 경력이 뒷받침되는 기자가 특파원으로 나가야 양질의 기사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당장의 숫자 늘리기에 급급해 검증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특파원 역할을 맡기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노동조합 유일형 위원장은 “특파원을 늘린다는 것은 단순히 숫자만 증가하는 것이 아니다”고 말하고 “세계적 이슈를 균형잡힌 보도로 국가경쟁력을 확보, 차별화된 기사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의 특파원 선발과정을 개선하고 해외 취재환경과 패턴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연합은 자체적으로 ‘해외특파원관련제도개선위원회’를 설치하고 특파원 선발방식, 취재시스템 등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제도개선위 이홍기 위원장은 “현재 여러 각도로 논의 중에 있으며 빠른 시일 안에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