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언론사가 지닌 이른바 ‘당파성’에서 비롯되는 편파성이 언론의 불공정 그 자체는 아니며 이를 의도적인 왜곡 보도와는 구분해 비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언론광장(대표 김중배)이 지난달 28일 인사동 느티나무카페에서 ‘언론의 편파성 시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성공회대 조희연 교수(사회학)는 ‘왜곡된’ 당파성이 공정성 시비를 부르고 있다고 지적하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언론의 편파성에 대해 “87년 이후 한국 사회의 전반적 시대상황을 기준으로 공정성을 논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조 교수는 현 상황을 ‘권력의 자유민주주의적 정상화’로 규정하고 “언론이 권력의지로부터 해방돼야 한다”면서 지금의 현상을 “(언론이)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담론준수의 규칙을 갖는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패널로 참석한 문화비평가 진중권 씨도 “언론이 정치적인 입장을 가지면서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양립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진씨는 “다양성 없는 언론은 불필요하다”며 “보수와 진보가 서로의 맹점을 지적하면서 견해의 다양성과 공정보도를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문제는 왜곡 보도”라며 왜곡 보도를 구별하는 세가지 기준으로 △팩트(사실)를 왜곡하는 경우 △현상을 왜곡해서 해석하는 경우 △가십거리를 필요에 따라 사회적 아젠다(의제)로 설정하는 경우 등을 제시했다.
KBS 이재강 기자(미디어포커스팀)는 권위주의 시절 일탈의 영역에 있던 현상이 합의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데서 왜곡 보도가 생산되는 것으로 진단했다. 또 매체간 공정성 논란이 “사실이 흔들리지 않는 시대로 가는 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기자는 “검은 것을 빨갛다고 얘기하지 않는, 최소한의 팩트에 대한 언론사 상호간의 동의가 이뤄지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공정성이란 목표를 뚜렷이 인식하고 추구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는 언론과 이에 역행하려는 언론은 분명 구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