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정책 기조 찬성, 방법엔 이견
지역언론법 자정 전제 ‘조건부 찬성’ 많아
언론발전 적임 노무현 권영길 정몽준 순
MBC·KBS 2TV 민영화 반대 52.7%
기자실 개방형 브리핑룸 전환 찬성 78.1%
이번 조사는 기자협회와 한길리서치가 공동으로 실시했으며, 2002년 7월 22일부터 25일까지 4일간 진행됐다. 전국적으로 지역별, 신문 방송 통신 등 매체별 모집단 구성비를 참작해 표본을 할당, 무작위로 뽑힌 400명의 기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전화 면접을 실시했다.
조사대상은 서울과 신문(통신포함)이 많았다.(서울 59.2%, 신문 81.5%) 조사결과에 대한 해석과 논의에서 이 점이 감안돼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일부 문항은 조사대상의 이같은 특성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직급별로는 차장급 이상 간부가 28.9%, 평기자 71.1%이며, 성별은 남자 86.4%, 여자 13.6%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4.9%이다.
대선보도
특정 후보 유리한 보도 여부
대선과 관련해 언론사가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보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기자 10명 중 8명이 넘는 83.2%(매우 그렇다 22.8%+다소 그렇다 60.4%)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6.2%(다소 그렇지 않다 12.7%+전혀 그렇지 않다 3.5%)였다.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응답은 근무연수 11년 이상(87.0%)과 국제부(100%) 편집부(88.3%)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하게 보도한 언론사와 후보
특정 언론사가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보도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자들(N=333명)은 특정 후보에 유리하게 보도하고 있는 언론사로 조선일보(69.3%)를 가장 많이 들었으며, 그 다음으로 중앙일보(4.5%) 동아일보(3.0%) 한겨레(2.1%) MBC(1.5%) 순으로 답했다. 유리하게 보도되고 있는 후보자로 93.3%가 이회창 후보를 들었으며, 노무현 후보라는 응답은 5.6%였다. 조선 중앙 동아를 지목한 응답자들은 유리하게 보도한 후보자로 이회창 후보를 각각 98.7%, 100%, 100%로 꼽았다. 반면 한겨레와 MBC를 지목한 기자들의 경우 모두 노무현 후보에게 유리하게 보도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정 후보 불리한 보도 여부
언론사가 특정 후보에게 불리하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유리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응답보다 다소 낮은 76.7%(매우 그렇다 26.9%+다소 그렇다 49.8%)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다는응답은22.4%(다소 그렇지 않다 18.4%+전혀 그렇지 않다 4.0%) 였다. 불리하게 보도한다는 응답은 경제부(85.3%) 국제부(84.1%)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불리하게 보도한 언론사와 후보
특정 언론사가 특정 후보에게 불리하게 보도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자들(N=307)은 불리하게 보도하고 있는 언론사로 조선일보(71.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동아일보(4.4%), 한겨레(3.3%), 중앙일보(3.0%) MBC(1.4%) 순으로 응답했다. 불리하게 보도되고 있는 후보자로 91.6%가 노무현 후보를 들었으며, 이회창 후보라는 응답은 8.1%였다.
조선 중앙 동아를 지목한 응답자들은 불리하게 보도한 후보자로 노무현 후보를 각각 97.9%, 100%, 93.1%로 꼽았다. 반면 한겨레와 MBC를 지목한 기자들의 경우 모두 이회창 후보에게 불리하게 보도하고 있다고 답했다.
선거관련 보도 항목 준수 여부
△주관 배제한 객관적 보도 △선거 공약 분석과 평가 △사실 입각한 정확한 보도 △후보자간 균등 배분 등 선거관련 보도 항목의 준수 여부에 대해 대체로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주관을 배제한 객관적 보도’(잘 지켜지지 않는다 68.0%)가 가장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선거공약에 대한 분석과 평가(60.7%), 사실에 입각한 정확한 보도(58.2%), 후보자간의 균등한 배분(51.7%) 순으로 나타났다.
특정 후보 공개지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언론사의 사설 등을 통한 특정 후보 공개지지 문제에 대해서는 60.0%가 음성적인 편들기를 막을 수 있으므로 찬성한다고 응답한 반면, 언론과 정치권의 유착이나 편파보도를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대한다가 39.2%로 찬성 의견이 우세했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방송사(71.1%)가 신문사(57.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론조사 결과 공표 여부
공식 선거운동 기간 중 여론조사 결과 공표를 금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공표할 수 있어야 한다’가 56.3%로 ‘현행대로 금지해야 한다’(43.0%)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표 찬성 의견은 근속연수 11년 이상(63.6%)과 사회부 편집부에서 높았으며, ‘현행대로 금지해야 한다’는 정치부 문화부, 근무연수 6∼10년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선후보 평가
차기 대통령 적임자 여부
대선후보들에 대해 각각 대통령감으로 적임자라고 생각하느냐고 질문한 결과 노무현 후보가 67.1%(아주 적임자다 12.1%+다소 적임자다55.0%)로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회창 후보가 41.8%(아주 적임자 3.5%+다소 적임자다 38.3%)로 그 뒤를 이었다. 다음은 정몽준(38.0%), 권영길(21.0%), 박근혜(13.1%) 순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지난 5월 <미디어오늘>이 조사했을 때 보다 노무현 후보는 11.8%가 하락(미디어오늘 조사 78.9%)한 것이며, 이회창 후보는 6.3%가 상승(미디어오늘 조사 35.5%)한 것이다.
권영길 후보는 큰 차이가 없었다(미디어오늘 조사 20.1%).
노무현 후보가 적임자라는 응답은 지방에서 높았으며, 이회창 후보는 방송사와 근무연수 11년 이상에서, 권영길 후보는 근무연수 1∼5년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언론발전·언론개혁 적임자 여부
대통령이 됐을 때 언론발전과 언론개혁을 가져올 적임자(아주 적임자+다소 적임자)에 대해서는 노무현 후보가 64.8%로 가장 높았고, 권영길 후보가 61.4%로 그 뒤를 바짝 뒤쫓고 있다. 권영길 후보의 경우 언론계 출신이며, 언론노동조합연맹 위원장으로 언론개혁에 앞장 섰던 점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정몽준(35.7%), 이회창(18.8%) 박근혜(18.1%)로 나타났다.
언론현안
MBC·KBS 2TV 민영화
방송기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MBC, KBS 2TV 민영화 문제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52.7%(적극 반대 27.1%+다소 반대 25.6%)로 찬성한다는 의견 42.7%(적극 찬성 11.6%+다소 찬성 31.1%)보다 많았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지방과 차장급 이상 간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언론 육성법 제정
지역언론의 어려움과 관련, 최근 논의되고 있는 지역언론 육성법에 대해서는 지역언론 활성화를 위해 찬성한다가 34.9%였으며, 경영투명성 확보, 자정능력이 전제된다면 찬성한다는 ‘조건부 찬성’이 51.0%로 조건부 찬성까지 감안하면 찬성 의견이 85.9%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지역언론에 대한 특혜이므로 반대한다는 의견은 10.0%에 불과했다.
기자실 운영방안
최근 공직협 등의 강제폐쇄 움직임 등 일부 지역에서 논란을 빚고 있는 기자실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개방형 브리핑룸으로 전환해야 한다가 78.1%로 가장 많았으며,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8.5%로 전체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12.2%였다.
신문 가판 폐지
신문 기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신문가판 폐지 문항에 대해 신문기자들의 58.5%가 찬성(적극찬성28%+다소 찬성 30.5%)한 반면 반대는 38.5%(적극 반대 9.4%+다소 반대 29.1%)로 찬성 의견이 더 많았다.
신문 공동배달제 도입
역시 신문기자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82.5%가 찬성(적극 찬성 52.7%+다소 찬성 29.8%)해 반대(14.5%) 의견을 훨씬 앞섰다.
언론사 2세경영
언론사 2세 경영에 대해서는 69.0%가 ‘전문경영인에게 맡겨 소유와 경영을 분리해야 한다’고 응답, 족벌언론과 이에 따른 세습 경영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경영능력이 검증된다면 2세나 3세라는 이유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는 30.1%로 나타났다.
햇볕정책 평가
서해교전 이후 언론사간에 벌어지고 있는 정부의 햇볕정책 논란에 대해서는 ‘기조는 유지하되 정책 수행은 수정해야 한다’가 55.2%, ‘유지해야 한다’ 40.2%로 전체적으로 햇볕정책의 기조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책수행에 있어서는 수정 의견이 현행 유지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4.0%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