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범 한겨레신문 사장이 신문시장 정상화 등 언론개혁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조중동’을 무서워하지 말고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 사장은 ‘한겨레 창간 16돌’(5월 15일)을 맞아 10일 본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언론개혁을 위해선 소유지분 제한 이외에 정보의 독과점 규제책이나 신문공배제의 법제화, 공정거래 위반행위에 대한 규제 강화 등의 방안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며 “정부는 언론개혁을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 이미 다 알고 있는 만큼 실천만 하면 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3면
고 사장은 “값비싼 경품제공이나 6개월 이상의 (신문)무료 제공 등 공정거래 위반행위로 신문시장의 혼탁상은 이미 그 한계를 넘어섰으며, 독자들은 신문을 경품 없이는 사지 않는 상품으로 여기게 됐다”며 “구독료 인하 역시 덤핑인데도 공정거래위원회의 단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고 사장은 신문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신문협회의 자발적인 참여도 촉구했다.
고 사장은 “앞으로 경품을 일체 쓰지 말고 무가지도 10% 선으로 대폭 줄이자는 결의를 신문협회 차원에서 스스로 밝히고 이를 자율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며 “앞으로 신문협회는 언론개혁의 대상이 아니라 언론개혁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또한 “신문시장 정상화를 위해선 반드시 공배제가 필요하지만 현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신문시장을 과점한 일부 신문사의 눈치를 살피는 공정위와 국회 일부 기득권 세력 등에 의해 제도가 왜곡돼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 사장은 그러나 공배제를 추진해온 한국신문서비스(주)가 최근 조직을 정비하고 판매 일선의 모든 역량을 하나로 묶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며 “자력 배달체제가 미진한 경제지와 지방지 등 다른 언론사도 동참해달라”고 촉구했다.
고 사장은 특히 “‘소수의견의 보호와 신문 유통구조의 안정화’를 위해서 국가가 공배제의 법제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관련 예산도 무상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 사장은 이어 “중앙일보 구독료 인하는 신문시장의 기본 질서를 무너뜨리는 ‘가격덤핑 행위’에 불과하다”며 “신문협회장인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이 평소신문시장 정상화나 구독료 인상 등을 주장해온 것과는 대치된 행위”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