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및 단체협상’의 계절을 맞아 각 언론사도 여느 사업장과 마찬가지로 ‘주 5일 근무제’,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 주요 현안으로 서서히 ‘뜨거운 6월’ 맞이 채비를 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언론사가 올해와 내년에 걸쳐 주 5일제 적용대상 사업장이 되는 만큼 대개가 주 5일제를 단체협상안의 핵심쟁점으로 삼고 있다.
주 5일제 시행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돼 온 방송사의 경우 제대로 된 주 5일제를 위해 필요한 수준의 인력 충원은 아직 요원한 문제다.
지난달 16일부터 임·단협을 진행하고 있는 KBS는 주 5일제로 인해 늘어나는 휴일수 만큼 인력충원을 하는 대신 임금보전을 원칙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 지역의 경우 현재도 3조 2교대, 본사는 4조 3교대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력 충원없이 주 5일제를 시행한다는 자체가 임금보전 외에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없게 만들고 있다.
KBS 이훈희 노조 정책실장은 “정원이 있는 공사의 특성 때문에 추가 인력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법이 적용돼도 탄력적인 충원이 어렵다”며 “현재로선 휴가를 한번 가려고 해도 누군가 대체근무를 해야하는 상황”이라고 주 5일제 시행을 앞둔 고충을 토로했다.
장기적으로는 인력을 충원해 기업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주 5일제의 본래 취지를 살리고, 공기업으로서 고용효과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동시에 기대해야 하겠지만 현재로선 임금보전 외에 다른 대안이 마땅치 않다는 것.
이에 따라 KBS 노사는 어차피 시행해야 할 제도라면 ‘선시행 후보완’을 원칙으로 우선 시행하고 이후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차츰 해결방안은 찾아보자는 입장이다.
이와 달리 방송사를 제외한 다른 언론사들은 실질적인 임금삭감 없는 주 5일제의 보장을 원하고 있다.
5∼6월 중 임·단협을 실시할 예정인 경향 노조는 “주 5일제의 취지 자체가 ‘복지’”라며 “실질적인 임금삭감 없는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되도록 하는 것이 (단협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단협 일정이 잡히는대로 주 5일제에 관한 논의에 들어갈 예정인 CBS의 최동철 노조위원장도 “당연히 시행해야 하고 가급적 빨리하자는 것이 노조의 입장이지만 회사의 재정이 문제”라며 주 5일제의 시행이 각 사의 경영 상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걱정했다.
주 5일제와 함께 올해 임·단협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은 비정규직 처우개선 문제다.
6∼9월 중 임·단협을 실시할 예정인 서울은 비정규직 사원의 급여 수준 개선과 일정 기간 근무한 사원에 대한 정규직 전환, 비정규직 고용 인원을 최소한으로 규제하는 것 등을 골자로 임·단협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문화는 경영상태를 고려해 ‘3년 이상 근무한 비정규직 사원의 정규직 전환’이라는 내용의 단체협약안을 이미 회사와 합의했고, KBS의 경우 비정규직 문제는 임·단협과 별도로 ‘노사협의체’에서 처우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