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25일 문화일보 편집국. 기자협회 지회와 노조 공보위가 공동 주최한 기자 총회에서 기자들은 국익이나 공익과 상관없이 엠바고가 남발, 오용되고 있다며 "왜곡된 엠바고 관행 철폐"를 결의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낮12시 이전에 발생하는 모든 사건 취재
▷행정편의에 따른 자의적 엠바고 거부
▷사전 고지 없는 엠바고 설정 관행 거부 등을 선언하며 '즉시 보도' 원칙을 채택했다.
기자들은 또 청와대 기자실 3개월 출입정지 조치야말로 '조간 기자들의 집단 이기주의 전형'이라고 분노했다. 그래서 징계의 형평성을 따지는 공개 질의서를 청와대 기자단에 보냈다.
문화일보는 이밖에도 엠바고 오남용 사례 백서를 발간하겠다고 했다. 외부 유관단체와 공동 토론회를 개최하겠다고도 했다.
두 달여 지난 시점에서 이 문제를 새삼 떠올리는 이유는 문화일보 기자들의 '결의'를 어디서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진지했던 논의들과 결연함은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왜곡된 엠바고'가 없어지지도 않았기에 더더욱 그렇다.
문화일보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한 기자는 "애초 우려대로 석간용 엠바고 몇 개 더 따낸 것으로 만족해 한다"며 "부끄럽다"고 말했다.
이 기자는 "엠바고 관련 후속 기사를 쓰겠다는 약속도 경과보고도 일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책임있는 언론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 기자는 "기자들이 타성에 젖어 싸움을 벌이는 것을 원치 않기에" 후속 조치가 없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래서 "엠바고 관행을 혁파하자는 내용의 사시를 정하자는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