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노무현 대통령의 직무복귀 이후 ‘대통령의 언론노출을 줄이고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내부 행사에는 풀 기자의 참석을 허용하지 않기로 해 출입기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특히 출입기자들은 그동안 노대통령의 직무정지가 풀리면 비서실동 취재를 허용해줄 것을 요청한 것과 정반대의 결과라며 이는 청와대의 새로운 ‘취재통제’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브리핑을 자주 갖는 등 보완책을 세워 브리핑룸제를 활성화하는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해 논란의 여파는 지속될 전망이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 등 내부 행사에는 앞으로 풀 기자의 참석을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노 대통령의 직무복귀 후 대통령의 새로운 홍보차원에서 이같이 결정했다면서, 다만 국무회의 등 외부 인사들이 참가하는 청와대 행사에는 기자들의 취재를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출입기자들은 “취지는 이해하나 방법이 잘못된 발상”이라며 “비록 브리핑을 자주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똑같이 듣고 똑같이 쓰면 왜 많은 언론사가 필요하겠느냐”고 말했다.
기자들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 직접취재 관행이 중단되면서 일주일에 한 차례씩 대통령주재로 열리는 수석·보좌관회의가 기자들의 유일한 정보갈증을 해소하는 창구였다”며 “주가폭락 등 경제 불안과 주한미군 철수 등 산적한 난제를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론을 결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언론과 불편한 관계를 왜 스스로 초래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카메라기자들도 이같은 방침에 대해 항의한 후 “앞으로 공개된 일정은 기자들이 무조건 촬영토록 해줄 것과 수석·보좌관 회의는 가급적 공개해야 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다만 기밀을 요하는 회의일 경우에는 비공개로 하면 되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청와대출입기자 20여명은 지난 7일 노대통령 직무복귀와 관련한 회의를 갖고 취재관계 개선에 대한 의견을 모아 홍보수석실에 전달했다. 이날 기자들은 “지금까지 청와대와 기자실간의 인식 차이가 너무 컸다”며 “탄핵국면이 지나고 국정 2기가 시작되면 언론관계에 발전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와 관련 안연길 춘추관장(보도지원비서관)은 “상근 부대변인도있는데다, 필요시 사안마다 수석·보좌관들이 직접 백그라운드 브리핑을 자주 갖게될 것”이라며 “오히려 브리핑룸제 전환취지를 살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금까지 대통령이 주재하는 수석·보좌관회의에는 풀 기자 2∼3명(기자실서 순번 선정)이 들어가 회의시작 직전 10여분 동안 참모진들을 상대로 사전취재를 해온 것이 관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