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중·동 '언론개혁' 대응책 부심

김신용 기자  2004.05.27 00:00:00

기사프린트

논문·해외사례 등 기초자료 수집

“특정 신문 죽이기 안된다” 항변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언론개혁에 대한 윤곽이 밝혀지면서 동아 조선 중앙일보 3사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들 3사는 겉으로는 태연한 분위기이지만 경영지원실, 미디어팀 등 관련부서에서는 언론개혁에 대한 논문이나 해외자료를 수집하는 등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특히 이들은 신문사 사주의 소유지분제한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언론개혁의 쟁점으로 부각될 경우, 이에 맞서는 대응논리를 개발해 공론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이들 신문사들은 정보를 교환하거나 미디어 담당기자들에게 직접 ‘누가 언론개혁 초안을 작성하는지 알아보라’고 지시를 내리는 등 내밀한 준비를 하고 있다.

실제로 조선일보는 언론개혁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와야 제대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중앙, 동아보다 더 적극적으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는 안티조선 기류가 폭넓게 형성돼 있고, 조선일보를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의 결집이 가속화되면서 ‘앉아서 당할 수만은 없다’는 내부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조선은 우선 도서관과 언론재단 등을 통해 언론학자, 교수 등이 쓴 논문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이는 말로만 “조선일보 죽이기”라고 외치기보다는 기초 자료를 근거로 논리적 반박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함께 해외특파원들에게 소유지분제한에 관한 해외사례가 있는지 파악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의 경우는 언론개혁에 대한 입장이 확고하다. 언론개혁은 특정신문사들을 죽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언론사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언론개혁은 21세기 미디어 환경에 맞게 방송·신문·인터넷 등 모두가 대상이어야 하며, 국민적 공감 속에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중앙은 또한 언론개혁안이 확정되면 본격적으로 대응논리를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기초작업은 이미 진행 중이다. 정당, 언론단체들이 주장하는 각종 자료를 스크랩하고 언론개혁추진 단체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 특히 언론개혁이 정파적 이해관계에서 나왔다고 판단, 추진세력들의 성향도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도 나름대로 ‘언론개혁’에 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회사전체의 입장은 정리되지 않았으나, 경영총괄팀을 중심으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또한 편집국 일부 기자들은 조선의 경우처럼 언론개혁과 관련, 토론회에 참여해 잘못된 부분은 그 부당성을 적극 지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중·동 관계자들은 “지금까지 나온 언론개혁추진방안 로드맵을 보면 조·중·동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진정한 언론개혁은 신문들을 잘되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