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뉴스통신진흥회 구성논의 본격화

정치권 인사 배제·자율규제 시스템 명시돼야

차정인 기자  2004.05.27 09:51:13

기사프린트

연합뉴스의 대주주 역할을 하게 될 뉴스통신진흥회의 재구성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경영감독, 예산승인, 사장추천 등의 권한을 갖게 될 뉴스통신진흥회 이사는 국회의장 추천 1인, 정치권 추천 2인, 신문협회 추천 1인, 방송협회 추천 1인, 대통령 선임 2인 등 모두 7명으로 구성하게 돼 있다. 그러나 작년 8월 뉴스통신진흥법 발효 이후 현재까지 5명의 이사는 추천됐지만 대통령 몫 2인이 선임되지 않아 청와대의 결정에 관심이 집중된 상태다.

이에 따라 민언련과 언론노조 등은 17대 국회가 개원하면 진흥회 구성과 관련된 법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연합 노조와 함께 다음달 7일 ‘뉴스통신진흥법 개정 및 사장추천위원회’와 관련한 토론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언론단체들이 이처럼 뉴스통신진흥회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진흥회’ 이사 중 절반 이상이 정치권 인사로 구성될 경우 연합이 국가기간통신사로서의 정치적 중립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연합 노조에서 추진해 왔던 사장추천위원회의 내규화 필요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제대 김창용 교수는 “국가기간통신사로서 공적영역에 속한 연합에 있어 진흥회 이사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며 “언론은 어떤 형태로든 정치권과 연관되어서는 안 되며 정당의 추천이 들어가야 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위원회 구성과 관련된 법개정이 시급하며 연합뉴스 내부에 옴부즈맨제도와 같은 자율규제시스템이 명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 노조 유일형 위원장은 “현재 이사회 구성방식의 가장 큰 문제는 인사 부분인데 사장을 비롯한 주요 직책을 놓고 진흥회에 줄대기를 시도할 경우 견제할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차정인 기자 pressch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