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보수신문 경제위기론 부각 '앞장'

김신용 기자  2004.05.27 10:10:00

기사프린트

무역적자·경기침체 의제 설정

정부개혁의지 상쇄…재계 대변





보수신문들이 전경련 등 재계의 목소리만을 반영해 경제위기론을 앞장서서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선 동아 중앙일보 등은 15일 노무현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한 이후부터 참여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들 신문들은 최근 사설 등에서 ‘경제가 수렁에 빠지는데 개혁 타령이냐’며 정부의 개혁정책을 꼬집었다.

특히 조선, 동아 등은 경제비상, 무역적자, 증시침체 등으로 의제를 설정하고 밑바닥 경제를 점검하는 시리즈를 내보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제를 이념논쟁으로 몰고 가거나 ‘성장과 분배 논란’을 최대한 부각하고 있다.

또한 공정거래법 개정안의 경우, 출자총액제한제도에 대해서는 부처간 합의한 결과를 토대로 입법예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있다는 식의 보도를 하는가 하면, 공정위와 재경부간 대립각을 크게 보도했다.

조선은 24일 ‘신음하는 서민경제-주부리포터 불황의 현장을 가다’라는 기획특집에서 주부방담과 함께 서민들의 밑바닥 경기를 체감케 하는 글을 내보냈다. 동아도 이날 ‘中企가 무너진다’ 시리즈 첫 순서에서 중소기업들의 현실을 생생하게 다뤘다.

조선과 중앙은 이날 1면과 3면에서 일제히 외국자본이 빠져나간다는 기사를 게재했다. 이에 앞서 조선은 22일자 A20면에서 이용섭 국세청장과 정구현 삼성경제연구소 소장을 나란히 인터뷰, 대비를 시켰다. 제목은 각각 ‘접대비 실명제 불평마라’와 ‘정부는 시장 간섭마라’였다. 공교롭게도 이날 동아도 ‘공정위-검찰 설쳐 투자 안돼’라는 제목하에 삼성경제연구소장의 인터뷰를 실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행태들은 경제위기감을 조장할 수 있는데다, 참여정부의 경제개혁을 차단하기 위한 보도라는 지적이다. 경제학자들은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고유가 중국쇼크 미국금리인상은 한국만이 아닌 일본 대만 유럽 등 대부분의 나라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한성대 김상조 교수(경상학부)는 “경제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어렵다고 언론이 연일 보도하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며 “보수신문들은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지키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기사를 다루기전에 정부의 경제정책이 국민들에게 장기적 믿음을 주는 기사를 한 번이라도 다뤘는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신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