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과 언론관련 시민단체 등에서 논의하고 있는 ‘언론개혁’의 화두가 ‘서울’만의 논의로 의미가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로 지방 언론사 편집국장들과 일선 기자들은 지역에 따라 다소 인식의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대체로 언론개혁의 대상을 지방과 분리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언론의 경우 ‘언론개혁’에 공감은 하나 경영악화로 인한 존립문제가 더욱 시급한 ‘발등의 불’이기 때문이다.
경인일보 유재명 기자는 “대부분의 언론기구들이 서울에 있는 상황이라 개혁의 공론화에는 긍정적”이라며 “그러나 중앙언론 중심의 언론개혁 분위기가 세지면서 지역언론발전법 논의는 뒷전으로 밀린 느낌”이라고 말했다.
강원도민일보 방명균 편집국장은 “지방은 개혁 이전에 생존의 문제를 안고 있지만 그래도 중앙언론의 개혁은 시급한 과제”라며 “난립되어 있는 지방언론의 개혁과제는 따로 설정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전매일의 윤성국 부국장도 “편집권 독립 보장을 골자로 한 언론개혁에 공감하며 모두가 긍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논의돼야 한다”며 “현재로선 피부로 느낄 만큼의 사항이 아니지만 이후 지방으로도 개혁의 내용과 파장이 미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소속사의 경영 악화로 인해 개혁을 이야기할 만큼의 여유조차 없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경남일보 하종갑 편집국장은 “당장 기자들 월급을 못줘 먹고사는 데 힘겨운 언론사가 많다”며 “지방언론 육성이 시급한 문제라 언론개혁에 관심을 둘 여지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입장에서 개혁은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한 서울의 잘 나가는 신문사 이야기로 보일 수밖에 없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전남일보 나종경 편집국장도 “중앙언론의 물량공세, 지방시장 독과점, 배달시스템 차이 등 지방언론이 가진 시급한 해결과제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다”면서 “서울은 편집권 독립을 말할 수 있는 상황일지 몰라도 지방은 경영압박에 시달려 존립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선 기자들마저 기자 양심과 현실 속에서 갈등을 느낄 때가 많아 스트레스 받는다”면서 “기자들의 직업에 대한 자신감을 북돋아 줄 방법이 시급히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