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환경·보건복지·과기부 등 4개 정부부처의 제2합동브리핑실이 지난달 24일 개소됐다. 지난 4월 6일부터 공사에 들어가 50여일 만에 개소된 합동브리핑실은 정부과천청사 2동 1층에 마련됐으며 총 공사비로 7억3천여만원이 투입됐다. 제2합동브리핑실의 시설·운영 현황과 출입기자들의 반응을 점검한다.
시설현황
제2합동브리핑실은 총 1백48평 규모로 보건복지부 1층에 위치해 있다.
합동브리핑실에는 기사송고실을 비롯해 제1브리핑룸 제2브리핑룸 접견실 휴게실 행정지원실 등이 들어가 있다. 기사송고실은 모두 84석으로 이 가운데 노동·환경부, 보건복지·과기부에 각각 42석씩 배정한 상태다.
한편 이들 부처에는 4월 26일 현재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전문지 등을 포함해 총 1백89명의 기자들이 등록돼 있다.
운영현황
지난달 20, 21일 4개 부처 중 기사송고실 자리 배치 등에 대한 운영방침을 마친 노동부와 환경부 출입기자단은 배정된 42석을 각각 21석으로 나눴다.
노동부의 경우 △상주기자들을 위한 11석 △방송기자 전용 4석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자유석 6석으로 배정했다. 환경부도 일단 상주기자를 위주로 자리를 배치, 상주전용 13석과 방송기자 전용 5석, 자유석 3석으로 구분했다.
이들 부처 출입 간사들은 “한 달 동안 현 상태를 유지하고 출결상황을 점검한 후 자리를 재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면 보건복지부와 과기부 출입기자단은 21석씩 나눈 가운데 아직 자리 배분을 놓고 이견이 분분한 상태다.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은 출입기자수를 고려해 더 많은 자리를 주장한 반면 과기부 출입기자단은 똑같이 나눠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점
제2합동브리핑실이 문을 열자 기자들 사이에서는 브리핑룸제가 본래 취지와 달리 ‘고정 출입기자제’를 강화하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28일 동아일보 나성엽 기자는 ‘기자의 눈’을 통해 “브리핑제 도입으로 누구나 브리핑을 듣고 기사를 쓰게 하자던 ‘개방형 취재시스템’은 사라지고, ‘내 돈 내고 내 자리 차지하는’ 고정출입기자제만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화일보 장재선 기자도 “브리핑 제도라는 것이 취재공간을 개방하는 것인데, 자리배정에서부터 예전 기자실과 유사한 기득권이 존재하고 있다”며 “국민들의 혈세로 만든 브리핑실이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폐쇄적인 성향을보이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와 달리 상주 및 방송기자 대부분은 ‘별 문제가 없다’ 식의 반응이지만 일부부처 출입기자 사이에선 자리 배치에 대한 격론 때문에 ‘제비뽑기’를 통해 자리를 고르는 촌극까지 벌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