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해산된 후 지난 5월 재설립 된 충청일보 노조가 사측과 계속 갈등을 빚고 있다.
노사갈등의 원인은 지난 1일 조합원인 김 모 편집부장을 괴산·증평 주재기자로 발령을 낸 인사와 열악한 근무환경 등 그동안 누적된 불만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지난 1일 성명을 통해 “회사 측이 유일한 부장급 조합원인 김 모 부장을 편집부장으로 인사한 지 1개월 만에 주재기자로 발령한 것은 보복성 인사”라고 항의하고 사측을 청주지방노동사무소에 부당노동행위로 고발한 상태다.
문종극 노조위원장(사회부 차장)은 “노사간 협상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 이사급 이하 간부도 노조에 가입을 할 수 있도록 했는데 유일한 부장급 조합원에게 이런 일이 벌어졌다”며 “노조를 탄압하기 위한 보복성 인사”라고 주장했다.
문 위원장은 또 “사측은 지난 달 13일에도 기자들에게 판매·영업실적에 대한 무리한 압박을 가하고 회사가 개최한 ‘미스충북 선발대회’ 티켓까지 판매하도록 강요해 항의한 일도 있다”며 “한두 달 월급이 밀려도 좋으니 사주가 ‘주식회사’이기 전에 ‘신문사’로 충청일보를 생각해 달라는 것이 조합원들의 솔직한 심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충청일보 기획실 관계자는 “아직 노사간에 심각한 물리적 갈등은 없다”며 “인사는 사측의 고유권한으로 업무의 유기적 협조관계를 고려했다는 것이 인사 책임자의 뜻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충청일보 내부사정에 밝은 한 언론인은 “충청일보 기자들은 IMF 후 50명에 달하는 인원감축 속에 업무량은 16면에서 20면으로 늘고 광고영업이나 판매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심하게 받고 있다”며 “최근의 갈등은 사측이 선임한 조모 이사의 무리한 업무추진과 ‘나는 회사를 정산하러 온 것’이라는 발언이 기자들이 집단으로 반발하는 원인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청일보 노조는 1987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편집국장 직선제를 도입하기도 했으나 1996년 안기부 출신 사장 임명과 관련해 내홍을 겪은 후 두 차례나 노조가 재설립과 해산을 반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