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부 출입기자가 해당 부처의 정책자문위원을 겸하고 있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동료 출입기자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여성부는 정책·권익증진·대외협력·차별개선 등 4개 분과에 학계, 여성계, 기업계 등에서 위촉된 50명의 정책자문위원을 두고 있다. 여성부장관이 위촉하고 당사자가 이를 받아들이면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게 되는 것.
이 가운데 여성부는 지난해 7월 발족한 3기 정책자문위원에 여성부를 출입하는 중앙일보 문 모 기자를 위촉했다.
여성부 출입기자들은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고 개별적으로 해당 기자의 해촉을 요구해오다 16일 11명의 출입기자 중 3명이 지은희 여성부장관과 직접 면담을 갖고 “권력기관인 정부와 이를 감시하고 비판해야 할 언론이 서로 건강하지 못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골자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해당기자의 즉각적인 해촉과 장관의 공식 사과, 재발방지 방안 마련 등을 요구했다.
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출입기자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한 데 대해 “그런 부분을 생각하지 못한 점에 대해 미안하다”며 재발방지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즉각 해촉 요구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위원 해촉은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여성부 김애량 정책실장은 “애초 여성전문기자라는 점과 현장을 밀착취재하고 있는 취재기자로부터 여성계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란 점이 고려됐을 뿐 다른 뜻은 없었다”며 “여성부의 신중하지 못한 처사였던 만큼 임기가 거의 만료된 해당 위원을 개별적으로 해촉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앙 문 기자는 “전문성과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려는 취지에서 자문위원직을 받아들였다”며 “몇 차례의 단독 특종 보도 후 타사 기자들이 특종 기사에 자문위원직을 이용했다고 주장했지만 보도나 취재에 자문위원직을 이용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으며 전문성과 개인적인 노력에 의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출입기자의 자문위원직을 문제 삼는다면 언론인이 정부의 각종 위원회에 참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으로 보고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