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이 국론분열 '앞장'

파병관련 보수 '찬성'- 진보 '반대' 입장차 뚜렷

김신용 기자  2004.06.30 10:38:07

기사프린트

찬반 접근보다 국익 우선해야





김선일씨 피살사건을 계기로 또다시 이라크파병이 뜨거운 사회이슈화가 되고 있는 가운데 언론이 소모적 국론분열에 앞장서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보수신문과 진보신문들은 저마다 국익을 내세우며 자사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지면을 만들고 사설을 쓰는 등 파병에 대한 찬반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동아, 조선 등 보수신문들은 파병원칙을 고수하고 있는데 반해 경향신문, 한겨레 등 진보신문들은 파병철회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언론계의 찬반양론과 함께 여당과 야당 국회의원 50여명이 ‘추가파병중단 및 재검토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는 등 국회의원들 사이에서도 파병에 대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이와 함께 재야·시민단체들도 이념적 성향에 따라 각각 입장을 달리하고 있어, 자칫 파병찬반 대립이 사회전반으로 확대될 우려마저 낳고 있다.

때문에 일부 언론학자들 사이에서는 미국언론들이 이라크전쟁 당시 한목소리를 냈고, 일본 언론들이 자국민 3명이 피랍됐을 때 신원에 대한 비보도 원칙을 지켰듯이 국내언론이 먼저 국익을 우선시하는 입장으로 함께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동아일보는 23일 사설에서 “현실의 국익을 고려하지 않은 파병반대론은 자제돼야 한다”며 “노무현 대통령이 어제 대국민 담화에서 ‘파병원칙 불변’을 천명한 것은 옳은 결정이다”고 밝혔다.



중앙도 이날 사설 ‘통분의 반인륜적 테러, 굴복할 수 없다’에서 “파병을 철회한다면 그건 테러에 대한 굴복”이라며 “정부가 파병고수 방침을 천명한 것은 당당하고 의연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조선도 같은 날 ‘김선일씨의 죽음을 헛되이 해선 안된다’는 사설에서 “대통령의 담화발표직후 다수의 국회의원들이 추가 파병반대 결의안을 제출한 것은 또다시 국론을 어지럽게 만들뿐 아니라 국제사회에 한국이 테러에 굴복하는 듯한 인상을 줄 우려가 없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 진보적 신문들은 일제히 파병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한겨레는 28일자 1면에 ‘이라크 저항공세 갈수록 격렬’이라는 제목하에 이라크 정전불안을 의제로 삼았다. 사회면에서도 광화문 촛불집회를 톱으로 다루며, 김선일씨 추모와 파병철회 등에 대한 기사를 내보냈다. 또한 지난 23일 사설 ‘파병철회가 현실적인 국익이다’에서는 “강경여론을 업고 파병강행을 밀어붙이는 일부 언론의 논조도 보인다”며 “(하지만)파병철회는 명분상의 당위가 아니다. 우리가 해야 할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밝혔다.



경향신문도 이날 사설 ‘왜 김선일씨는 참수당해야 했나’에서 “민간인이건 군인이건 김씨 같은 불행한 일을 겪는 이가 또 나타날 수 있다”며 “국민들이 이런 불행을 또 겪지 않도록 정부가 파병중단의 결단을 내려야할 때가 왔다”고 주장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김영호 대표는 “성숙한 민주주의는 여론의 다양성이 존재하나 이라크 파병보도는 국익보다는 논리적 허구성이 들어있다”며 “당초 정부나 정치권에서 충분히 여론을 수렴치 못한 것도 파병찬반에 대한 논란을 일으킨 이유”라고 말했다.

김신용기자 trustkim@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