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문광고 부가세 폐지 추진을"

신문광고 활성화 특별좌담회

김신용 기자  2004.07.07 10:06:23

기사프린트




   
 
   
 
KOBACO 광고독점 차단 중장기과제

광고주도 신문 공공재 성격 고려해야





IMF 이후 최악의 상황인 신문광고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신문광고에 대한 부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관련기사 3면>

또한 방송사의 광고영업을 대행하고 있는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코바코)의 방송광고독점 차단도 장기과제로 검토, 신문광고시장의 궁극적 확대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주장은 본보가 2일 오후 기자협회 회의실에서 개최한 ‘신문광고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별 좌담회’에 참석한 토론자들 사이에서 나왔다.





토론자들은 이날 좌담회에서 “신문은 이제 더 이상 친화적 마케팅에 의존하지 말고 광고주를 설득 시킬 수 있는 과학적 데이터를 제시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광고주들도 신문이 사회의 정화나 투명화를 위해 기능을 하는 ‘공공재’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광고주협회 김기원 사무국장(상무보)은 “신문광고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나라가 생각보다 많다”며 “우리도 현재와 같은 광고위축이 지속된다면 공론화 과정 등을 거쳐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일부 시민단체들은 코바코의 유용한 부분, 존재의 필요성 등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지만, 사실 코바코 때문에 신문을 비롯한 다른 매체들이 성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따라서 코바코의 광고독점을 폐지하는 방안을 장기적 과제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2003년 12월말 기준으로 ABC에 가입한 신문사는 동아, 조선, 중앙일보와 매일경제 등 모두 4개 신문사뿐”이라며 “ABC 가입촉진을 위해 내년에 시범기간을 정해 10%를 전후로 가입사와 비가입사간에 차등 적용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겨레신문 최영선 경영기획실장도 “광고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폐지한다면 광고주의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런 효과가 신문에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한다면 검토해 볼만 하다”고 덧붙였다. 최 실장은 또한 “방송의 경우 정부가 상당한 지원을 하고 있고, 코바코를 통해 조정 기능을 한다”며 “신문도 정부차원이든 기업차원이든 공공재로서의 기능을 원만히 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인제대 김창룡 교수(신방과)는 “영국의 경우 30만부를 발행하는 신문이 3백만부를 발행하는 신문보다 광고단가가 높다”며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광고주가 해당신문의 매체성격과 주요독자들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가 빈약한 만큼 이의 확충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손병기 부국장(광고담당)은 “매체의 영향력을 단 몇 만부차이로 ‘일등신문’을 주장해 광고를 집행하는 관행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이런 불합리성에 벗어나기 위해서는 부수의 차이가 있더라도 ‘신문의 퀄리티’ 등을 인정해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용 기자 trustkim@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