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국노조, 독자적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

콘텐츠가격 현실화 등 제시…사측 "현실성 있으면 고려"

홍석재 기자  2004.07.07 10:20:05

기사프린트

사측의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해 ‘일방적인 희생 강요’라며 반발해 오던 한국일보 노동조합이 자체적으로 사측에 제시할 경영정상화 방안을 마련했다.

지난달 18일 내놓은 사측의 안이 ‘20∼30% 임금삭감’과 ‘50∼1백명 인력 구조조정’을 핵심 사안으로 하는 반면 노조의 안은 수익창출 가능 방안을 제시해 ‘경영 활성화를 통한 정상화’를 하자는 것이 주요 골자.



노조 관계자는 이번 정상화 방안이 기존에 주장해 오던 ‘3백억 증자 완료’와 더불어 △미주한국일보 서울경제 등 자회사에 제공되고 있는 한국일보 콘텐츠 가격 현실화 △자회사인 한국인쇄 흡수·통합을 통해 인력 및 생산력 제고 △연간 10억 이상의 임대 수익이 예상되는 송현클럽 운영 및 스포츠한국 외주 인쇄 계약 정상화 등을 통해 전체 ‘파이’를 키우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노조는 사측이 경영 수치를 사실대로 공개하고, 이를 토대로 노사가 협의 하자는 주장도 함께 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조의 방안은 지난 4월과 6월 상여금 2백%와 창간일(6월9일)에 지급되는 특별 상여금 50%를 포함해 모두 2백50%의 체불 상여금이 먼저 지급돼야 한다며 노조가 1일부터 한국일보 사옥 로비에서 연좌시위를 벌이면서 사측에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노조 한 관계자는 “체불임금 지급이 선행돼야 노조의 경영 정상화 방안을 전달할 수 있다”며 “이후 노사 양측의 정상화 방안을 놓고 교섭을 진행하면서 합의점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 정기상 부사장은 “자금이 확보되는 대로 상여금은 지급될 것”이라며 “아직 노조 측의 안을 받아보지 못해 분명히 답하기 어렵지만 현실성만 있다면 사측의 방안과 다르더라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