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조선, 동아일보와 ‘행정수도이전’ 문제를 놓고 정면충돌하고 있다. 특히 이례적으로 언론사 실명을 밝히며 보수언론은 물론 인터넷 매체인 ‘프레시안’까지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때문에 언론계에서는 청와대가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에 이어 청와대브리핑을 통해 이들 언론사를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은 “마음먹고 준비한 전면전”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동아는 이와 관련 “실체적 진실과 거리가 있다”며 청와대와 양정철 비서관에 대해 사과 및 해명요구와 함께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명예훼손혐의로 법적소송을 검토하기로 해 대립이 지속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5면
노무현 대통령은 9일 처음으로 행정수도이전 반대의 주요기관으로 특정 언론사를 지목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지금 행정수도이전반대 여론이 모아지고 있는데, 이를 주도하는 기관을 보면 정부청사 앞에 거대빌딩을 가진 언론사가 아니냐”고 말했다.
청와대 양정철 비서관(국내언론)도 같은 날 청와대브리핑 ‘조선, 동아는 저주의 굿판을 당장 걷워 치워라’는 제하의 글에서 “두 신문은 한나라당 구령에 맞춘 ‘청기백기’게임인가, 우연의 일치인가”라며 “구여권(혹은 한나라당)이 찬성하면 두 신문도 여지없이 찬성하거나 침묵이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안영배 비서관(국정홍보) 또한 이날 청와대 브리핑 ‘대화와 토론 거부하는 엇나간 사고’란 글에서 인터넷매체인 ‘프레시안(대표 박인규)’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안 비서관은 지난 7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한 ‘한-미 관계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보고서가 ‘프레시안’ 등 일부 언론에서 왜곡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청와대는 12일자 청와대 브리핑에서도 “선동 아닌 합리적 비판이 아쉽다”며 “정치공세에 편승하거나 이를 과장하고 대서특필하는 보도와 논평은 온당치 않으며 설득력도 없다”고 두 언론의 편향성을 지적했다.
하지만 해당 언론사들도 기사와 사설을 통해 연일 현 정권 비판에 나서는 등 강경대응을 보이고 있다.
동아는 우선 “행정수도 이전이 지고지순의 논리고, 이것을 반대하면 ‘반노’다는 논리는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동아는 또 “청와대 브리핑의 글이 얼마나 잘못됐는가를 하나하나 거꾸로 입증해 기사화할 것”이라며 12일자에 이를 반박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조선은 “여론을 반영해 보도한 것”이라며 별도의 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열린우리당과 노대통령의 정책 등에 대해 비판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프레시안 관계자도 “청와대가 인터넷 홈페이지에 보고서를 게재한 것 자체가 무지한 것”이라며 “공개된 이상 있는 사실 그대로 썼을 뿐이다”고 청와대 참모진을 비난했다.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언론계 관계자들은 “조선, 동아가 너무 부채질하듯이 여론을 몰고가 청와대가 반발한 것이 아니냐”며 “하지만 청와대가 직접 깃발을 들고 언론공격의 선두에 서는 것도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