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문시장이 위축되면서 언론계에 각종 설이 난무하고 있다. 가장 많이 떠도는 설은 인수설과 구조조정설이다. 때문에 대기업들의 주 5일근무, 임금인상 등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겪고 있는 기자들은 “속이 타는 일만 생긴다”고 푸념이다.
하지만 어떤 말은 상당한 근거를 토대로 나온 것이어서 해당사들이 진위파악을 하느라 부심하고 있다. 또한 일부 언론유관 단체나 정부부처에서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며 정보 입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선 조선일보의 모 인터넷증권신문 인수설이다. 이 말은 증권가와 언론계에서 동시에 나온 것으로 “조선이 이 신문의 1대주주 주식 14%를 인수할 예정이며, 가격조정만 남았다”는 것. 이러한 설에 대해 조선 관계자는 “노 코멘트”, 해당 신문 기획실장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에 대한 설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설의 초점은 불교계가 한국을 인수할 것이라는 것. 이는 정보기관의 정보사항을 넘어, 최근에는 “모 불교신문과 통합할 예정”이라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 해당 불교신문 관계자는 “지난해 사장의 직접 지시로 모 신문의 인수를 검토한 적이 있다”며 “그러나 한국일보 인수설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국 채권관리단과 경영진은 “그런 소문이 있으면 알려 달라”고 부탁했다.
P기업의 문화일보 인수설도 한 때 언론계에 회자됐다. 또한 중앙일보가 “모 케이블방송을 인수하려고 한다”는 소문도 돌았다. 하지만 이 모두 그럴듯한 소문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인수설과 함께 구조조정설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가장 최근의 것은 중앙일보의 50명 감원설이다. 이는 중앙의 12면 감면과 동시에 나온 말로, 언론계에 급속히 퍼졌다. 하지만 중앙 관계자는 “우리 신문을 흠집내기 위한 말인 것 같다”며 “인원감축은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또 하나는 조선의 “해고 준비설”이다. 확인결과 이 말은 노사간 단협안에서 비롯됐다. 즉 회사측이 “정리해고를 할 때 ‘구체적 기준과 방법을 조합과 합의한다’고 돼 있는 기존 단협조항을 ‘성실히 협의한다’로 바꿀 것을 제안하면서 나온 것이다. 이와 관련 사측 관계자는 “터무니없는 낭설”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조합원들은 ‘편집부 외주업체 신설 등의 소문’이 나돈 터라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밖에 “2개의 스포츠 신문이 무료지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는 등의 소문도 스포츠 신문업계의 경영악화와 맞물려 소문이 나돌고 있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김영호 공동대표는 “신문업계가 어려울 때마다 각종 설이 있었지만 요즘은 더한 것 같다”며 “차제에 정부에서도 신문산업을 불황산업으로 규정, 통폐합 요건을 자유롭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