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노사·노노 갈등 '불협화음'

이종완 기자  2004.07.21 11:00:10

기사프린트

한국, 경영정상화방안 시각차

DT, 집행부 총사퇴 새 국면





경영정상화 방안을 놓고 장기간 노·사 갈등을 빚어온 한국일보와 디지털타임스가 또다시 노·사간, 노·노간 갈등 표출로 불협화음이 커지고 있다.



한국일보 노조(위원장 전민수)는 18일 노조소식지를 통해 ‘경영진과 채권단에 묻는다, ‘한국일보 회생’의 의지가 있는가’라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그동안 사측이 내놓은 방안에 맞서 노조측의 최종입장이 담긴 경영정상화 방안을 사측에 전달했다.

노조 측이 내놓은 경영정상화 방안에는 이달 초 마련했던 안을 다소 수정해 △투명 경영을 위한 외부 감사제도 도입 △기구 통폐합 등을 통한 간부의 수 축소 △ 인적, 물적 비용 절감 노력이 불가피할 경우 제작지원부서부터 구조조정 시행 등의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

특히 이번에 노조 측이 내놓은 경영정상화 방안은 그동안 사측이 주장하던 ‘20∼30% 임금삭감’과 ‘50∼1백명 인력 구조조정 이후 증자방안 협의’ 등의 입장과 상반된 것이어서 실질적인 협의가 이뤄질지 미지수인 상태다.

노조는 21일 추가실사가 마무리 되는대로 그동안 유예했던 사옥 로비농성을 재개하고 사측과 경영정상화 방안을 협의하기 위한 본격적인 투쟁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이와 달리 사측은 노조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놓고 7∼8월 중에는 어떤 식으로든 결말이 맺어져야 한다고 보고 이에 따른 본격적인 협상 채비에 나서고는 있으나 서로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상태여서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지난 8일 사측이 파산절차를 밟겠다며 개최한 이사회가 파산결의 없이 마무리돼 한 고비를 넘긴 것으로 알려진 디지털타임스는 19일 노조 총회를 열어 현 집행부가 마련한 새로운 노·사 협의안을 심의했지만 10여표의 근소한 차이로 부결돼 현 집행부가 전원 사퇴하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날 총회에서의 노조안 부결은 그동안 노조가 주장해온 경영진 퇴진을 전제로 한 사측 경영정상화 방안 협의에서 다소 완화된 △편집국장 임명 동의제 △ 기본급 약간 인상과 보너스 6백% 반납 후 내년 전액 환원 등의 안에 대해 노조원들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에 따라 노사협상 뿐 아니라 새로운 노조 집행부 구성 등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