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파문'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이제는 '지면 밖'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무대는 법정과 언론중재위원회다. 지금까지 중앙일보가 언론사와 여권에 제기한 소송은 5건, 청와대측이 중앙일보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은 1건이며 중재위를 거친 사안도 6건에 이른다.
중앙일보는 먼저 17일 대한매일과 한겨레를 상대로 각각 10억 원의 손해배상 및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중앙일보는 소장에서 "이들 신문이 언론탄압이라는 중앙일보 문제제기를 사주 한 사람을 옹호하기 위해 지면을 동원하고 있다는 식으로 오도했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는 지난달 14일 중재위에 정정보도를 청구했으나 한겨레와 대한매일에서 "사실보도를 한 만큼 중앙일보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 결렬된 바 있다.
또 정치부 이양수 차장은 "조선일보에서 내가 언론문건 논의에 관여한 것처럼 보도했다"며 지난 5일 조선일보와 정치부 김창균 기자를 상대로 1억 원의 손해배상 및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앞서 중앙일보는 지난달 28일 문건작성에 중앙일보 개입설을 제기한 국민회의 이영일 대변인과 김현미 부대변인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이밖에 중앙일보는 '개입설'을 거론한 몇몇 보도에 중재위 제소를, 문병호 논설위원은 '중앙간부 개입설'을 언급한 국민회의 이종찬 부총재와 최상주 비서관을 상대로 민사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부 반격'도 있다. 먼저 국정홍보처에서 지난달 10월 27일자 김영희 칼럼과 사회면 기사에 대해 제기한 반론보도 청구가 받아들여져 중앙일보는 18일 이례적으로 자사 칼럼에 대한 반론을 게재했다.
김한길 정책기획 비서관은 17일 자신이 위장전입을 통해 그린벨트 내 주택 농지를 매입해 보유 중이라는 중앙일보 보도로 명예가 훼손됐다며 5억 원의 손해배상 및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냈다. 여기에 지난 6일 박지원 문화관광부 장관과 박준영 공보수석이 중재위에 낸 중앙일보의 '국민의 정부 언론탄압 실상을 밝힌다' 제하 시리즈 기사에 대한 반론보도 청구가 15일 불성립돼 귀추가 모아지고 있다. 박 장관과 박 수석은 두 차례에 걸친 중재에서 A4용지 18쪽, 12쪽에 이르는 장문의 반론문 게재를 요구했으나 중앙일보는 이를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