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국 노-사 입장차 여전 '정상화' 해결 실마리 못찾아

사원 과반수 사측안 동의…노조 협의 변수

이종완 기자  2004.08.04 10:58:20

기사프린트

경영난으로 빚어진 한국일보 사태를 정상화하기 위한 노사간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회사 정상화 방안을 바라보는 입장차가 여전해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3일 채권실사단이 실시한 2차 실사결과에서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오고 퇴직금이라도 보전하기 위한 직원들의 명예퇴직 신청이 러시를 이루는 등 경영의 어려움이 해소되지 않고 있지만 회사 정상화를 바라는 직원들의 목소리는 여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한국일보 회사측은 지난달 23일 철수한 채권 실사단이 ‘한국일보의 존속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더 높다’는 요지의 2차 실사보고서를 내놓자 파산 등의 최악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임금삭감과 퇴직금 누진제 폐지 등이 담긴 ‘근로조건에 관한 특별규정’을 동의해줄 것을 전 직원들에게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앞선 22일에도 사측은 장재구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사원설명회를 열고 사원모두가 임금삭감 등을 뼈대로 하는 회사측 경영정상화 방안에 동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날 장 회장은 이전에 약속했던 3백억원 유상증자 방안을 올해 안에 성사시키지 못할 경우 스스로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각서에 서명했다. 이어 신상석 사장과 장명수 이사, 정기상 부사장, 김수종 주필, 박진열 편집국장 등 사장 이하 국, 실장 간부 10명이 경영정상화를 지연시킨데 대한 책임차원에서 사표를 제출했다.



편집국 기자들로 구성된 한국일보 기자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도 사측의 동의서 제출요구가 개인의 근로조건과 관계되는 사안이어서 개별적인 판단에 따라 이행할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

한국 편집국은 7월 임금 미지급분에 대한 불만이 팽배한 상황이지만 회사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회사측의 동의서 제출 요구를 불가피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실제로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전체 6백99명의 사원 중 4백9명(58.5%)이 사측이 요구한 동의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고 지난달 31일까지 마감한 명예퇴직 신청에서 무려 51명이 신청했다.



그러나 노조측은 사측의 긴급회의가 있은 직후 23일 성명을 통해 “회장이 전 사원들의 고통을 요구하며 그 대가로 내놓겠다고 한 3백억원의 유상증자는 이미 지난번 양해각서(MOU) 체결 당시 가장 큰 전제조건이었음에도 채권단의 묵시 속에 고통을 분담하는 것처럼 다시 언급하고 있다”며 “로비 농성과 사장 퇴진 운동 등을 불사하는 등 회사 측의 꼼수를 철저히 막아낼 예정”이라고 밝혀 노조 측과의 협의여부가 회사정상화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종완 기자 kore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