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속내를 읽어내고, 대통령의 철저한 ‘사상경호’를 담당하는 청와대 브리핑이 조선, 동아일보에 대한 칼끝을 멈추지 않고 있다. 논조 또한 방어적 글에서 공세적이고 전투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실제로 청와대브리핑은 지난달 9일 ‘조선·동아는 저주의 굿판을 당장 거둬 치워라’는 글을 게재해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같은 달 27일에는 ‘조선·동아는 안보 상품화에서 깨어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때문에 이를 두고 청와대 출입기자들 사이에서 이러쿵저러쿵 말이 많다.
기자들은 “청와대가 너무 지엽적인 문제를 갖고 의제설정을 한다”에서부터 “동네 언론사 수준의 말꼬리 잡기로 청와대답지 못하다”는 등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이다.
친노 성향의 기자들도 “청와대의 권위는 단어 하나, 용어 하나에도 신중할 때 생기는 것”이라며 “즉흥적이고 즉자적인 어구들을 한 번도 아니고 반복해서 쓴다면 과연 신뢰가 생기겠느냐”고 꼬집었다.
청와대 국내언론비서관실 관계자는 “(청와대 브리핑에 대한) 기자들의 비판을 알고 있지만 현재의 언론환경에서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선, 동아는 참여정부 출범이후 지금까지 우호적 보도보다는 ‘흠집내기’ 보도로 일관했다”며 “이는 대통령의 국정은 물론 참여정부 전체의 정책을 삐딱하게 풀어가는 그들만의 ‘생존투쟁’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