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국 노사 끝없는 평행선

비대위, 채권단회의 앞두고 대책마련 분주

이종완 기자  2004.08.18 15:56:10

기사프린트




   
 
   
 
한국일보 노사가 회사정상화방안을 놓고 이견차를 좁히지 못한 채 여전히 팽팽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편집국 비상대책위원회는 한국일보의 존립여부를 다룰 채권단회의가 20일경 열릴 것으로 보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채권단은 한국일보의 공동관리여부를 조만간 결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사측은 12일 ‘사원여러분께 알려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지난 10일 노조와 임단협 교섭에서 (노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임단협안을 내놓았다”며 “앞으로 사측은 한국일보사를 살리기 위한 사원 여러분의 눈물겨운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당당히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사측은 “노조의 주장은 ‘노조원 임금은 한 푼도 깎을 수 없다’, ‘노조원은 구조조정에서 제외하라’, ‘노조에 특혜를 달라’ 등 세 가지 사안으로 노조원의 평균연봉이 전체사원 평균연봉보다 많은 상황에서 동의서를 이미 제출한 사원들과 형평성에 맞지 않는 안을 제시한 것”이라며 “한국일보사를 살리기 위한 사원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앞으로의 노·사간 협상에 당당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노조는 다음날인 13일 ‘회사 메일에 대한 조합의 입장’이라는 반박성명서를 통해 “회사를 망친 경영진이 거짓으로 사원간의 갈등을 증폭시켜보겠다는 8월의 꼼수에 지나지 않는, 그렇기 때문에 대꾸할 가치도 없는 유치한 문건”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명서를 내는 까닭은 경영진이 이처럼 사실을 왜곡 전달하는 것만은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는 당위성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노조는 “이번 문건과 이제까지 회사가 진행하는 것으로 파악된 꼼수를 한데 모아 더욱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며 “앞으로 매주 수요 집회를 정례화 할 것”이라고 이날 오후 12시 노조원들이 항의 집회를 열었다.



또 지난 6일 노조는 한국일보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보낸 공개질의서에 대한 답변에서 “2004년에는 법에 따라 외부전문기관으로부터 경영정상화 가능성 재평가를 실시해 검토 중이며, 자금경색 MOU 미이행 등을 감안할 때 공동관리 지속여부를 최종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힌 것에 대해 “공동관리 중단 청산 운운하는 채권단의 무책임한 주장이 계속될 경우 강력한 투쟁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 4일, 7월분 임금 미지급에 항의해 편집국 내 부장단과 함께 전임체제로 바꾸어가며 단계적 공동투쟁에 들어간 편집국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고재학)는 노조와 별도로 채권단 회의 결과가 빚어낼 모든 가능한 결과를 마련해놓고 상황변화 추이에 따라 행동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종완 기자 kore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