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문광고시장 하반기도 '우울'

30~50% 덤핑 …'대포'물량도 없어

김신용 기자  2004.08.25 10:28:18

기사프린트




   
 
   
 
부수·판촉 등 과당경쟁 자제해야





신문 광고시장이 장기불황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예년보다 빨리 비수기를 맞은 광고시장은 광고덤핑까지 ‘비일비재’하는 등 IMF때보다 더 힘든 상황이다.

광고담당자들은 통상적으로 추석을 앞둔 시점에도 불구하고 광고시장이 살아나지 않아, 이대로 가면 하반기에도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광고덤핑을 광고주뿐만 아니라 신문사들도 ‘울며 겨자 먹기’로 함께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한번 떨어진 광고단가는 경기회복이 되더라도 올려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신문사들은 예전에 비해 30∼50%씩 광고단가를 낮춰 광고를 받고 있다. 광고주들도 신문사 광고담당자들을 만나면, 광고단가를 아예 덤핑가격으로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 신문사 광고담당자들은 아예 30% 정도 싼 가격으로 제시하고, 한 번 더 광고를 내줄 것을 권유하기도 한다.



더구나 일부 신문사들은 덤핑광고 물량은 커녕 ‘대포광고’(공짜광고) 물량조차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때문에 광고담당자들은 지면광고를 메우느라 하루하루를 ‘광고전쟁’속에 살고 있다.

실제로 A신문사 광고담당자는 “대포광고를 하기 위해 기업체에 원고(필름)를 만들어 달라고 하면, ‘지나간 그림이니 하지 마라’고 거절당하기 일쑤다”며 “기업의 변화된 자세와 신문의 신뢰도 문제를 동시에 느낀다”고 말했다.



일부 메이저 신문사들도 이달에 하루 1억∼2억원대(평상시 하루 5억∼10억원)에 불과한 광고를 했을 정도로 최악의 국면이다. 실제로 이달 중 동아·조선·중앙일보 주말판의 경우 예전에 볼 수 없었던 값싼 광고들이 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신문업계에서는 부수, 판촉경쟁 등 과당경쟁을 자제하고 신문협회차원에서 공동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광고덤핑은 당장은 신문사에 이익이 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마이너스라는 것을 인식하고 장기적 안목에서 살아남기 경쟁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한겨레 황충연 광고기획부장은 “현재 전체 광고시장의 15%를 공급하고 있는 삼성만 광고를 늘리고 있을뿐 다른 기업들은 돈이 있어도 광고를 하지 않는다”며 “신문도 반성해야 하지만 기업들이 홍보는 신문에 하고, 광고는 TV에 주는 태도도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손병기 광고기획담당(부국장)도 “전체 신문광고의 25%에 달하는 부동산 시장과 15%를 차지하는 유통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각종 잘못된 관행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경제에서 ‘흥분된 분위기’가 있어야 광고도 살아나는 만큼 정부의 일관된 정책, 기업들의 정부신뢰 등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신용 기자 trustkim@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