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문위기 타파 "조·중·동 앞장서라"

'판매시장 정상화·광고 활성화 솔선해야

김신용 기자  2004.09.01 16:07:04

기사프린트

신문위기가 현실화되면서 동아 조선 중앙일보 등 신문시장점유율 상위 3개사가 먼저 신문시장 정상화를 위해 앞장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들 3사는 시장 점유율이 75%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는 과열판촉경쟁 자제와 독자들에게 공짜신문의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신문업계에서는 이와 함께 경기위축으로 덤핑광고가 업계전반에 만연하고 있는 만큼 ‘조·중·동이 먼저 덤핑광고를 하지 말자’는 선언을 하는 등 혼탁한 신문시장을 솔선해 정화해 나가야 한다는 요구도 함께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신문업계의 당면과제에 대해 조·중·동 핵심관계자들도 동의하는 분위기여서 3사 사주들간 모임이나, 그 이전에 경영기획실 관계자들간 비공식 모임 등이 이뤄질 가능성도 높다.



현재 조·중·동 3사가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일은 판촉용 무가부수를 줄이는 것이다. 한국 ABC협회가 지난해 10월25일 발표한 조·중·동 3사의 공사보고서(2002.1∼2002.12)에 따르면 발행부수의 경우 조선 2백37만7천부, 동아 2백5만1천부, 중앙 2백5만1천부 등이다. 이 가운데 유효부수는 조선이 1백75만6천부, 동아 1백53만9천부, 중앙 1백53만3천부로 각각 조사됐다.



이는 조·중·동 모두 판촉용 무가부수(발행부수에서 유효부수를 뺀 부수)가 전체 발행부수의 40%대에 달하는 수치이다. 즉 50∼60만부가 무가형태로, 시장에 배포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결국 이들 3사는 1개사 당 월평균 60억∼72억원(1만2천원×50만∼60만부)을 판촉용으로 허비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신문 제값받기 운동도 중요한 과제중 하나이다. 현재 중앙지 월평균 구독료는 1만2천원이지만, 조·중·동의 경우 본사로 들어오는 돈은 4천2백원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다른 일간지의 경우 본사로 입금되는 돈이 2천5백원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돼 신문 제값받기 운동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중앙일보 관계자는 “독자들에게 자전거, 비데, 백화점 상품권을 줘가며 확보한 독자는 계약기간이 끝나면 더 큰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부실독자”라며 “3사가 이 점을 알고 독자들에게 ‘공짜신문’이란 인식을 없애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관계자도 “독자들에게 신문의 가치를 높여나가야 한다”며 “이제 독자들에게 ‘정보가치가 높은 신문’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과열판촉을 자제하는 등 신문업계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덤핑광고 문제도 논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각 신문사 광고담당자들은 기존 단가의 30∼50%선까지 하락한 광고단가는 결국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원상복구가 되지 않는 만큼 단가는 제대로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지금과 같이 ‘광고덤핑과 대포광고를 많이 하다보면 광고주들의 입맛에 언론이 좌지우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조·중·동 3사가 먼저 신문광고가 효과가 크다는 것을 과학적 데이터로 보여줘야 한다고 말한다. 즉 공신력이 있는 기관에 광고효과측정을 의뢰해 신문광고효과에 대한 이미지를 높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신문협회 박수만 사무총장은 “신문협회차원에서 보면 조·중·동과 다른 신문사들간 상생의 문제가 항상 고민거리였다”며 “하지만 조·중·동 3사가 스스로 신문시장 정상화를 위해 실천적 의미의 합의를 도출한다면 다른 신문사들도 크게 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용 기자 trustkim@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