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장재구 회장의 증자약속 기한이 8일로 최종 결정됨에 따라 편집국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위원장 고재학)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9일부터 본격적인 경영진 퇴진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노조(위원장 전민수)도 1일 조합원 찬·반 투표를 통해 향후 파업여부를 결정키로 해 채권단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이는 이달 초순이 한국일보 사태의 최대 갈림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8월 말을 기한으로 경영진의 증자분 이행여부를 지켜봤던 편집국 비대위는 당초 증자미이행에 대한 신뢰가 깨졌다고 보고 장 회장 퇴진운동과 함께 자체적인 한국일보 살리기 운동을 벌일 계획이었다.
그러나 비대위는 지난달 31일 장 회장이 54억원 증자를 날짜를 정해 요구해옴에 따라 모든 투쟁계획을 일단 9일 이후로 연기했다.
고재학 비상대책위원장은 “장회장이 지금까지 날짜를 확정해 증자약속을 해온 적이 없었으나 이날 처음으로 자신의 신뢰를 걸고 증자약속과 담보제공 등의 최종안을 내놓았다”며 “현재 노사간 협상이 끝난 상태가 아닌데다 채권단측에서 제안한 중재안 수용에 관한 논의가 남아있어 마지노선을 정해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노조는 지난달 서울지방노동위의 최종 쟁의조정이 결렬됨에 따라 그 다음 단계로 파업여부를 결정하게 될 조합원 찬반투표를 1일 갖고 경영진측이 제시한 최종안과 앞으로의 투쟁방향에 대해 결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회사정상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불필요한 억측을 방지하기 위해 향후 투쟁계획 등에 대해서는 이날 찬반투표 결과 이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사측은 오는 8일까지 장 회장의 54억원 증자에 이어 올해까지 2백억원, 내년 2백억원 등 모두 4백50억원의 담보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자금관리단의 중재하에 사측과 구성원간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동안 수차례 미뤄졌던 채권단 회의도 1일 설명회를 거쳐 조만간 개최될 예정이어서 비대위와 노조 측의 투쟁방향에 귀추가 주목된다.